반응형

사자성어 1329

간악에 관련된 한자어: 모았더니 4개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간악에 관련된 한자어: 모았더니 4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간단히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蛇心佛口(사심불구): 뱀의 마음에 부처의 입이라는 뜻으로, 속으로는 간악한 마음을 품고 있으면서 입으로는 착한 말을 하는 행동이나 그런 행동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뱀 사(蛇), 마음 심(心), 부처 불(佛), 입 구(口) (2) 侃侃諤諤(간간악악): ‘간악’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강직할 간(侃), 강직할 간(侃), 직언할 악(諤), 직언할 악(諤) (3) 墮其術中(타기술중): 남의 간악한 꾀에 빠져 넘어감. 떨어질 타(墮), 그 기(其), 꾀 술(術), 가운데 중(中) (4) 聚蚊成雷(취문성뢰): 모기가 모이면 우레 소리를 낸다는 뜻으로, 작은 모기도 많이 모이면 소..

쌀겨에 연관된 한자어: 세어보니까 3개

반가워요. 오늘은 "쌀겨에 연관된 한자어: 세어보니까 3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늦기전에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糟糠不飽(조강불포): 가난하여 술찌끼와 쌀겨조차 배부르게 먹을 수 없음. 지게미 조(糟), 겨 강(糠), 아니 불(不), 배부를 포(飽) (2) 糟糠(조강): (1)지게미와 쌀겨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 먹는 변변치 못한 음식을 이르는 말. (2)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3)교만한 승려나 거친 교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지게미 조(糟), 겨 강(糠) (3) 糟糠之妻(조강지처):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후한서≫의 에 나오는 말이다. 지게미..

보잘것에 상관된 한자어: 모았더니 7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보잘것에 상관된 한자어: 모았더니 7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일목요연하게 확인해 보세요. (1) 落花流水(락화류수): (1)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가는 봄의 경치를 이르는 말. (2)살림이나 세력이 약해져 아주 보잘것없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떨어지는 꽃에 정(情)이 있으면 물에도 또한 정이 있어 떨어지는 꽃은 물이 흐르는 대로 흐르기를 바라고 유수는 떨어지는 꽃을 띄워 흐르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남녀가 서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4)춘앵전이나 처용무에서, 두 팔을 좌우로 한 번씩 뿌리는 춤사위. (5)1929년에 발매한 우리나라 최초의 창작 가요. 김서정(金曙汀)이 작사ㆍ작곡하고, 이정숙(李貞淑)이 노래하였다. 1927년에 만들어진 동명의 무성 영..

정직에 상관있는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7개

좋은 하루 ^^; 이번에는 "정직에 상관있는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7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늦기전에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三益友(삼익우):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석 삼(三), 더할 익(益), 벗 우(友) (2) 三益之友(삼익지우): 사귀어 이로운 세 부류(部類)의 벗으로서, 정직(正直)한 사람과 성실(誠實)한 사람과 견문(見聞)이 넓은 사람을 이름. 석 삼(三), 더할 익(益), 갈 지(之), 벗 우(友) (3) 益者三友(익자삼우):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더할 익(益), 놈 자(者), 석 삼(三), 벗 우..

역경에 연관있는 한자어: 모았더니 6개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역경에 연관있는 한자어: 모았더니 6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늦기전에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苦盡甘來(고진감래):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는 뜻으로,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옴을 이르는 말. 쓸 고(苦), 다할 진(盡), 달 감(甘), 올 래(來) (2) 萬古風霜(만고풍상): 아주 오랜 세월 동안 겪어 온 많은 고생. 일만 만(萬), 예 고(古), 바람 풍(風), 서리 상(霜) (3) 韋編三絶(위편삼절): 가죽으로 엮은 것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뜻으로, 공자가 역경(易經)을 세 번이나 애독하여 죽간(竹簡)을 엮은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고사에서 독서에 힘씀을 이르는 말. 다룸가죽 위(韋), 엮을 편(編), 석 삼(三), 끊을 절(絶) (4) 大器晩成(대기만..

얼굴에 관련된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99개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얼굴에 관련된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99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멋진 사진과 함께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曲眉豊頰(곡미풍협): 굽은 눈썹과 풍만한 뺨이라는 뜻으로, 초승달 모양의 눈썹과 통통하게 살이 붙은 탐스러운 뺨이란 뜻으로, 고전적 동양 미인의 얼굴을 이르는 말. 굽을 곡(曲), 눈썹 미(眉), 풍년 풍(豊), 뺨 협(頰) (2) 顔面不知(안면부지): 얼굴을 모름. 또는 얼굴도 모르는 사람. 얼굴 안(顔), 낯 면(面), 아닌가 부(不), 알 지(知) (3) 提耳面命(제이면명): 귀에 입을 가까이하고 얼굴을 맞대고 가르쳐 명함. 또는 간곡히 타이르고 가르침. 끌 제(提), 귀 이(耳), 낯 면(面), 목숨 명(命) (4) 明鏡不疲(명경불피): 맑은 거울은 ..

실지에 관련된 한자어: 모았더니 5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실지에 관련된 한자어: 모았더니 5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편하게 확인해 보세요. (1) 見而知之(견이지지): 실지로 보고 앎. 볼 견(見), 말 이을 이(而), 알 지(知), 갈 지(之) (2) 見虎未見虎(견호미견호): 호랑이를 보기는 보았으나 실지(實地)로는 보지 않았다는 뜻으로, 무엇이나 실제(實際)로 다하지 않으면 생각이 간절(懇切)하지 못하다는 말. 볼 견(見), 범 호(虎), 아닐 미(未), 볼 견(見), 범 호(虎) (3) 名過其實(명과기실): 세상의 평판이 실제보다 지나치다는 뜻으로, 이름만 나고 실상은 그렇지 못함을 이르는 말. 이름 명(名), 지날 과(過), 그 기(其), 열매 실(實) (4) 浦鞭之罰(포편지벌): 부들 채찍의 벌(罰)이라는 뜻으로, 형식(形式)..

의례에 연관된 한자어: 모두 7개

반갑습니다. 오늘은 "의례에 연관된 한자어: 모두 7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쉽게 읽어 보세요. (1) 鳳皇來儀(봉황래의): 봉황이 와서 의례를 한다는 뜻으로, 봉황이 덕에 감동해 찾아와 의용(儀容)을 정제(整齊)하고 있다는 것에서, 태평세상(太平世上)이 될 상서로운 조짐의 의미. 봉새 봉(鳳), 임금 황(皇), 올 래(來), 거동 의(儀) (2) 賀祥瑞儀(하상서의): 상서(祥瑞)로운 일을 축하하는 의례라는 뜻으로, 전쟁에 이겼을 때나, 나라의 큰 경사 등 상서(祥瑞)로운 일이 있었을 때 하례(賀禮)하는 의식을 이르는 말. 하례할 하(賀), 상서로울 상(祥), 상서 서(瑞), 거동 의(儀) (3) 回婚禮(회혼례): 부부가 혼인하여 함께 맞이하는 예순 돌을 기념하는 잔치. 돌 회(回), 혼인할 혼(婚),..

치욕에 관한 한자어: 모두 8개

좋은 하루 ^^; 오늘은 "치욕에 관한 한자어: 모두 8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쉽게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含垢納汚(함구납오): 수치(羞恥)를 참고 더러움을 받아들인다는 뜻으로, 임금이 치욕을 잘 참음을 이르는 말. 머금을 함(含), 때 구(垢), 들일 납(納), 더러울 오(汚) (2) 殆辱近恥(태욕근치): 총애(寵愛)를 받는다고 욕된 일을 하면 머지 않아 위태(危殆)함과 치욕(恥辱)이 옴. 위태할 태(殆), 욕될 욕(辱), 가까울 근(近), 부끄러워할 치(恥) (3) 國恥民辱(국치민욕): 나라의 부끄러움과 백성의 욕됨. 외세에 국권이 농락당하는 것을 이른다. 나라 국(國), 부끄러워할 치(恥), 백성 민(民), 욕될 욕(辱) (4) 死生榮辱(사생영욕): 죽음과 삶과 영예와 치욕의 ..

웃사람에 연관있는 한자어: 전부 7개

반갑습니다. 오늘은 "웃사람에 연관있는 한자어: 전부 7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편하게 감상해 보세요. (1) 虛傳將令(허전장령): (1)장수의 명령을 거짓으로 꾸며서 전함. (2)윗사람의 명령을 거짓으로 꾸며서 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빌 허(虛), 전할 전(傳), 장수 장(將), 하여금 령(令) (2) 上下相蒙(상하상몽):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서로 속임. 위 상(上), 아래 하(下), 서로 상(相), 입을 몽(蒙) (3) 上下和睦(상하화목): 상하가 서로 뜻이 맞아 정답게 지냄. 위 상(上), 아래 하(下), 고를 화(和), 화목할 목(睦) (4) 上濁下不淨(상탁하부정): 윗물이 흐리면 아랫물도 깨끗하지 못하다는 뜻으로, 윗사람이 부패하면 아랫사람도 부패하게 됨을 이르는 말. 위 상(上), 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