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자성어 1329

환상에 관련있는 한자어: 다 합치면 4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환상에 관련있는 한자어: 다 합치면 4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늦기전에 읽어 보세요. (1) 夢幻泡影(몽환포영): 꿈, 환상, 거품, 그림자라는 뜻으로, 인생이 헛되고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꿈 몽(夢), 변할 환(幻), 거품 포(泡), 그림자 영(影) (2) 泡幻(포환): 물거품과 환상이라는 뜻으로, 세상의 허무함을 이르는 말. 거품 포(泡), 변할 환(幻) (3) 海市蜃樓(해시신루): 환상을 믿을 수 없다는 뜻으로, ‘신기루’를 달리 이르는 말. 바다 해(海), 저자 시(市), 무명조개 신(蜃), 다락 루(樓) (4) 夢幻(몽환): (1)꿈과 환상이라는 뜻으로, 헛되고 터무니없는 생각을 이르는 말. (2)이 세상의 모든 사물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꿈 몽(夢..

비늘에 관련된 한자어: 정리했더니 5개

안녕 ^^; 이번에는 "비늘에 관련된 한자어: 정리했더니 5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편하게 알아 보세요. (1) 銀鱗玉尺(은린옥척): (1)모양이 좋고 큰 물고기. (2)‘물고기’를 아름답게 이르는 말. 은 은(銀), 비늘 린(鱗), 구슬 옥(玉), 자 척(尺) (2) 魚鱗鶴翼(어린학익): 어린진과 학익진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고기 어(魚), 비늘 린(鱗), 학 학(鶴), 날개 익(翼) (3) 逆鱗(역린): 임금의 노여움을 이르는 말. 용의 턱 아래에 거꾸로 난 비늘을 건드리면 용이 크게 노하여 건드린 사람을 죽인다고 한다. ≪한비자≫의 에서 유래한다. 거스를 역(逆), 비늘 린(鱗) (4) 濯鱗淸流(탁린청류): 맑은 시냇물에 비늘을 씻는다는 뜻으로, 높은 지위와 명예를 얻음을 이르는 말. 씻을 ..

산천에 상관있는 한자어: 총 12개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산천에 상관있는 한자어: 총 12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바로 읽어 보세요. (1) 山容水相(산용수상): 산의 솟은 모양과 물의 흐르는 모양이라는 뜻으로, 산천의 형세를 이르는 말. 메 산(山), 얼굴 용(容), 물 수(水), 서로 상(相) (2) 深深山川(심심산천): 깊고 깊은 산천. 깊을 심(深), 깊을 심(深), 메 산(山), 내 천(川) (3) 錦繡江山(금수강산):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산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비단 금(錦), 수 수(繡), 강 강(江), 메 산(山) (4) 人傑地靈(인걸지령): 뛰어난 인재는 땅의 신령스러움에서 난다는 뜻으로, 위대한 인물이 난 곳에 이름이 나는 것처럼 사람의 운명은 그가 태어나 자란 ..

식견에 연관된 한자어: 정리했더니 18개

안녕 ^^; 오늘은 "식견에 연관된 한자어: 정리했더니 18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편하게 확인해 보세요. (1) 獨學孤陋(독학고루): 스승이 없이, 또는 학교에 다니지 아니하고 혼자서 공부한 사람은 견문이 넓지 못하여 생각이 좁고 천박함을 이르는 말. 홀로 독(獨), 배울 학(學), 외로울 고(孤), 좁을 루(陋) (2) 博學多識(박학다식): 학식이 넓고 아는 것이 많음. 넓을 박(博), 배울 학(學), 많을 다(多), 알 식(識) (3) 無識君子(무식군자): 배우지 못하여 지식이나 식견이 없어도 말과 품행이 올바른 사람. 없을 무(無), 알 식(識), 임금 군(君), 아들 자(子) (4) 眼孔大(안공대): 눈구멍이 크다는 뜻으로, 식견이 넓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눈 안(眼), 구멍 공(孔), ..

경관에 상관있는 한자어: 모두 4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경관에 상관있는 한자어: 모두 4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일목요연하게 감상해 보세요. (1) 內三千外八百(내삼천외팔백): 경관(京官)이 삼천 명, 외관(外官)이 팔백 명이라는 뜻으로, 문무백관이 의장(儀裝)을 갖추고 모이는 것을 이르던 말. 안 내(內), 석 삼(三), 일천 천(千), 바깥 외(外), 여덟 팔(八), 일백 백(百) (2) 綠滿窓前(녹만창전): 창 앞에 푸르름이 가득하다 뜻으로, (1) 창가에 초목(草木)이 푸르게 우거진 모양(模樣)으로 초여름의 경관(景觀) (2) 있는 그대로의 자연(自然)을 즐기려는 문인(文人)의 심경(心境)을 나타낸 것. 찰 만(滿), 창 창(窓), 앞 전(前) (3) 晴好雨奇(청호우기): 갠 후의 경치도 좋고 빗속 경치도 기이함. 갤 청(晴),..

방면에 관련있는 한자어: 총 12개

반가워요. 이번에는 "방면에 관련있는 한자어: 총 12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오늘 알아 보세요. (1) 博而不精(박이부정): 널리 알지만 정밀하지는 못함. 넓을 박(博), 말 이을 이(而), 아닌가 부(不), 정미할 정(精) (2) 四面八方(사면팔방): 여기저기 모든 방향이나 방면. 넉 사(四), 낯 면(面), 여덟 팔(八), 모 방(方) (3) 萬物博士(만물박사): 여러 방면에 모르는 것이 없는 매우 박식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만 만(萬), 만물 물(物), 넓을 박(博), 선비 사(士) (4) 博而精(박이정): 여러 방면(方面)으로 널리 알 뿐 아니라 깊게도 앎. 즉 '나무도 보고 숲도 본다'는 뜻. 넓을 박(博), 말 이을 이(而), 정미할 정(精) (5) 庶政刷新(서정쇄신): 여..

놀람에 관련된 한자어: 모아보면 6개

반가워요. 오늘은 "놀람에 관련된 한자어: 모아보면 6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편하게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啞然失色(아연실색): 뜻밖의 일에 얼굴빛이 변할 정도로 놀람. 벙어리 아(啞), 그러할 연(然), 잃을 실(失), 빛 색(色) (2) 吠日之怪(폐일지괴): 해를 보고 짖는 괴이함이라는 뜻으로, 비 오는 날이 많은 蜀(촉) 땅의 개가 해가 뜨면 괴이하게 여겨 짖는 것에서 신기한 것을 보고 놀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짖을 폐(吠), 날 일(日), 갈 지(之), 기이할 괴(怪) (3) 面色如土(면색여토): 몹시 놀라거나 겁에 질려 안색이 흙빛과 같음. 낯 면(面), 빛 색(色), 같을 여(如), 흙 토(土) (4) 樓觀飛驚(누관비경): 궁전(宮殿) 가운데 있는 물견대(物見臺)는 높아서 올라가..

유유에 관련된 한자어: 모아보면 3개

안녕 ^^; 오늘은 "유유에 관련된 한자어: 모아보면 3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바로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山高水長(산고수장): 산은 높이 솟고 강은 길게 흐른다는 뜻으로, 인자(仁者)나 군자의 덕행이 높고 한없이 오래 전하여 내려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메 산(山), 높을 고(高), 물 수(水), 길 장(長) (2) 雲出無心(운출무심): 구름이 가는데 마음이 없다는 뜻으로, 구름이 아무 생각 없이 흘러가듯이 인생을 유유하게 사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구름 운(雲), 날 출(出), 없을 무(無), 마음 심(心) (3) 行雲流水(행운유수): (1)떠가는 구름과 흐르는 물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일정한 형태가 없이 늘 변함. (3)일의 처리가 자연스럽고 거침이 없음. ..

방탕에 관련있는 한자어: 다 합치면 4개

반가워요. 이번에는 "방탕에 관련있는 한자어: 다 합치면 4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쉽게 알아 보세요. (1) 市井無賴(시정무뢰): 펀둥펀둥 놀면서 방탕한 생활을 하며 시중에 떠돌아다니는 점잖지 못한 무리. 저자 시(市), 우물 정(井), 없을 무(無), 힘입을 뢰(賴) (2) 釜中之魚(부중지어): 솥 안에 든 물고기라는 뜻으로, 앞으로 오래지 않아 곧 죽게될 목숨이 위태로운 상태를 비유하거나, 닥칠 위험을 모르고 방탕에 빠진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 가마 부(釜), 가운데 중(中), 갈 지(之), 고기 어(魚) (3) 浮浪子弟(부랑자제): 떠돌아다니며 방탕한 생활을 하는 청소년을 완곡하게 이르는 말. 뜰 부(浮), 물결 랑(浪), 아들 자(子), 아우 제(弟) (4) 虛浪放蕩(허랑방탕): ‘..

애도에 관련된 한자어: 총 3개

안녕 ^^; 이번에는 "애도에 관련된 한자어: 총 3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늦기전에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釋服從吉(석복종길): 상복을 입는 기간이 끝나기 전에 상복을 벗고 일상복으로 갈아입는 일. 조선 시대에는 이러한 경우, ≪당률소의≫에 따라 도형(徒刑) 3년에 처하였다. 풀 석(釋), 옷 복(服), 좇을 종(從), 길할 길(吉) (2) 輓歌(만가): (1) 상여(喪輿)를 메고 갈 때 부르는 노래 (2) 죽은 사람을 애도(哀悼)하는 노래. 끌 만(輓), 노래 가(歌) (3) 生榮死哀(생영사애): 살아서 영화롭고 죽어서 애도하다는 뜻으로, 훌륭한 사람은 살아서는 존경을 받고, 죽어서는 애통해함을 받는다는 의미. 날 생(生), 영화 영(榮), 죽을 사(死), 슬플 애(哀) word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