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자성어 1329

가뭄에 관한 한자어: 정리했더니 9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가뭄에 관한 한자어: 정리했더니 9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간단히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大旱望雲霓(대한망운예): 큰 가뭄에 구름과 무지개를 바란다는 뜻으로, 자신의 목적하는 바의 달성을 매우 초조한 심정으로 갈망하고 있음을 비유하는 말. 큰 대(大), 가물 한(旱), 바랄 망(望), 구름 운(雲), 무지개 예(霓) (2) 渴民待雨(갈민대우): 목마른 백성이 비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아주 간절히 기다림을 이르는 말. 목마를 갈(渴), 백성 민(民), 기다릴 대(待), 비 우(雨) (3) 治山治水(치산치수): 산과 내를 잘 관리하고 돌봐서 가뭄이나 홍수 따위의 재해를 입지 아니하도록 예방함. 또는 그런 일. 다스릴 치(治), 메 산(山), 다스릴 치(治), 물 수(水) (4..

청나라에 상관있는 한자어: 정리하면 4개

안녕 ^^; 이번에는 "청나라에 상관있는 한자어: 정리하면 4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꼭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實事求是(실사구시):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공리공론을 떠나서 정확한 고증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적ㆍ객관적 학문 태도를 이른 것으로, 중국 청나라 고증학의 학문 태도에서 볼 수 있다. 조선 시대 실학파의 학문에 큰 영향을 주었다. 열매 실(實), 일 사(事), 구할 구(求), 옳을 시(是) (2) 太平天國(태평천국): (1)근심이나 걱정이 없는 편안한 이상국. (2)1851년에 홍수전과 농민 반란군이 중국 광시성(廣西省)에 세운 나라. 청나라의 지배에 항거하고, 기독교의 평등사상과 토지의 균등 분배 따위를 바탕으로 한 이상 국가를 세우고자 하였으나, 1864년..

피부에 관한 한자어: 모았더니 8개

안녕 ^^; 이번에는 "피부에 관한 한자어: 모았더니 8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간단히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皮膚之見(피부지견): 피부로 본다는 뜻으로, 겉만 보고 성급히 내리는 얕은 견해(見解)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가죽 피(皮), 살갗 부(膚), 갈 지(之), 볼 견(見) (2) 氷肌玉骨(빙기옥골): (1)살결이 맑고 깨끗한 미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매화의 곱고 깨끗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얼음 빙(氷), 살 기(肌), 구슬 옥(玉), 뼈 골(骨) (3) 鷄皮鶴髮(계피학발): 피부는 닭의 살갗 같고 머리털은 학처럼 희다는 뜻으로, 늙은이를 이르는 말. 닭 계(鷄), 가죽 피(皮), 학 학(鶴), 터럭 발(髮) (4) 氷肌雪腸(빙기설장): 얼음 같이 맑은 피부와 눈..

눈에 관한 한자어: 총 159개

반가워요. 이번에는 "눈에 관한 한자어: 총 159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쉽게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雪上加霜(설상가상):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 눈 설(雪), 위 상(上), 더할 가(加), 서리 상(霜) (2) 詠雪之才(영설지재): 여자의 뛰어난 글재주. 중국 진나라 사(謝) 씨의 딸이 시를 짓는데 눈을 보고 바람에 날리는 버들가지 같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읊을 영(詠), 눈 설(雪), 갈 지(之), 재주 재(才) (3) 眼中無人(안중무인): 눈에 보이는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방자하고 교만하여 다른 사람을 업신여김을 이르는 말. 눈 안(眼), 가운데 중(中), 없을 무(無), 사람 인(人) (4) 形不如面面..

위력에 상관된 한자어: 세어보니까 5개

반가워요. 이번에는 "위력에 상관된 한자어: 세어보니까 5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바로 알아 보세요. (1) 蓋世英雄(개세영웅): 기상이나 위력, 재능 따위가 세상을 뒤덮을 만큼 뛰어난 영웅. 덮을 개(蓋), 인간 세(世), 꽃부리 영(英), 수컷 웅(雄) (2) 威力成黨(위력성당): 떼 지어 으르고 협박함. ⇒규범 표기는 ‘울력성당’이다. 위엄 위(威), 힘 력(力), 이룰 성(成), 무리 당(黨) (3) 錢可通神(전가통신): 돈이 있으면 귀신과도 통할 수 있다는 뜻으로, 돈의 위력으로 못할 게 없음을 이르는 말. 돈 전(錢), 옳을 가(可), 통할 통(通), 신 신(神) (4) 泰山壓卵(태산압란): (1)큰 산이 알을 누른다는 뜻으로, 큰 위엄의 힘으로 여지없이 누름을 이르는 말. (2)큰 산의 무..

씩씩에 관련된 한자어: 모아보면 14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씩씩에 관련된 한자어: 모아보면 14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지금 알아 보세요. (1) 血氣方壯(혈기방장): 힘을 쓰고 활동하게 하는 원기가 왕성함. 피 혈(血), 기운 기(氣), 모 방(方), 씩씩할 장(壯) (2) 山嶽氣像(산악기상): 산악(山岳)같이 씩씩하고 웅장(雄壯)한 기상. 메 산(山), 큰산 악(嶽), 기운 기(氣), 형상 상(像) (3) 强壯之年(강장지년): 몸이 씩씩하고 왕성한 나이의 뜻으로, 원기가 왕성한 나이인 30-40대의 나이를 의미. 굳셀 강(强), 씩씩할 장(壯), 갈 지(之), 해 년(年) (4) 和而不壯(화이부장): 온화하나 씩씩하지 않다는 뜻으로, 문장의 필치(筆致)가 온화(穩和)하기는 하나 웅장(雄壯)하지는 못하다는 의미. 고를 화(和), 말 이을..

기초에 관련된 한자어: 다 합치면 9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초에 관련된 한자어: 다 합치면 9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오늘 읽어 보세요. (1) 餘無可論(여무가론): 이미 본 것에 기초하여 대강이 결정되어 나머지는 논의할 필요가 없음. 남을 여(餘), 없을 무(無), 옳을 가(可), 의논할 론(論) (2) 堅如盤石(견여반석): 기초가 반석처럼 튼튼함을 이르는 말. 굳을 견(堅), 같을 여(如), 소반 반(盤), 돌 석(石) (3) 盤石之安(반석지안): 이리저리 흔들리지 아니하는 바위와 같이 기초, 토대, 의지 따위가 견고하거나 견실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반 반(盤), 돌 석(石), 갈 지(之), 편안할 안(安) (4) 盤石之宗(반석지종): 견고(堅固)한 기초(基礎). 소반 반(盤), 돌 석(石), 갈 지(之), 마루 종(宗) (5..

어림에 관한 한자어: 총 10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어림에 관한 한자어: 총 10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오늘 감상해 보세요. (1) 憶吹簫樂(억취소악): 제가 보아서 아는 대로 제 생각만으로 추측(推測). 어림치고 하는 생각. 억지 추측(推測). 생각할 억(憶), 불 취(吹), 퉁소 소(簫), 풍류 악(樂) (2) 暗索(암색): (1)물건 따위를 어둠 속에서 더듬어 찾음. (2)어림으로 무엇을 알아내거나 찾아내려 함. 어두울 암(暗), 찾을 색(索) (3) 虎前乞肉(호전걸육): 호랑이 앞에서 고기를 구걸한다는 뜻으로, ‘범에게 고기 달래기’로 표현하는 어림도 없는 일을 계획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 범 호(虎), 앞 전(前), 빌 걸(乞), 고기 육(肉) (4) 千不當萬不當(천부당만부당): 어림없이 사리에 맞지 ..

주머니에 관련된 한자어: 세어보니까 14개

반가워요. 오늘은 "주머니에 관련된 한자어: 세어보니까 14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오늘 알아 보세요. (1) 探囊取物(탐낭취물): 주머니 속에서 물건을 꺼내듯이 아주 손쉽게 얻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찾을 탐(探), 주머니 낭(囊), 취할 취(取), 만물 물(物) (2) 酒囊飯袋(주낭반대): 술을 담는 부대와 밥을 담는 주머니라는 뜻으로, 술과 음식을 축내며 일은 아니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술 주(酒), 주머니 낭(囊), 밥 반(飯), 자루 대(袋) (3) 穎脫(영탈): 주머니 속의 송곳 끝이 밖으로 튀어나와 있다는 뜻으로, 뛰어나고 훌륭한 재능이 밖으로 드러나는 데가 있음을 이르는 말. 이삭 영(穎), 벗을 탈(脫) (4) 衣架飯囊(의가반낭): 옷걸이와 밥주머니 노릇을 한다는 뜻으로, 아무 쓸모 ..

곡절에 연관된 한자어: 정리했더니 4개

반갑습니다. 오늘은 "곡절에 연관된 한자어: 정리했더니 4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멋진 사진과 함께 감상해 보세요. (1) 前後曲折(전후곡절): 일의 처음부터 끝까지의 이런저런 복잡한 사정. 앞 전(前), 뒤 후(後), 굽을 곡(曲), 꺾을 절(折) (2) 波瀾萬丈(파란만장): 사람의 생활이나 일의 진행이 여러 가지 곡절과 시련이 많고 변화가 심함. 물결 파(波), 물결 란(瀾), 일만 만(萬), 어른 장(丈) (3) 必有曲折(필유곡절): 반드시 무슨 까닭이 있음. 반드시 필(必), 있을 유(有), 굽을 곡(曲), 꺾을 절(折) (4) 萬折必東(만절필동): 황허는 아무리 굽이가 많아도 반드시 동쪽으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충신의 절개는 꺾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꺾을 절(折), 반드시 필(必), 동녘 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