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속담모음 1075

벌집에 관한 속담: 정리하면 6개

반갑습니다. 오늘은 "벌집에 관한 속담: 정리하면 6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멋진 사진과 함께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자는 벌집 건드린다: 그대로 가만히 두었으면 아무 탈이 없을 것을 공연히 건드려 문제를 일으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자는 범 건드려서 화를 입는다: ‘자는 벌집 건드린다’의 북한 속담. (3) 자는 범의 코등을 밟다: ‘자는 벌집 건드린다’의 북한 속담. (4) 잠자는 범에게 코침 주기: ‘자는 벌집 건드린다’의 북한 속담. (5) 잠자는 범의 수염을 다친다: ‘자는 벌집 건드린다’의 북한 속담. (6) 벌집 보고 꿀돈 내여 쓴다: ‘너구리 굴 보고 피물 돈 내어 쓴다’의 북한 속담.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속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좋은 자..

궁리에 연관있는 속담: 정리했더니 14개

좋은 하루 ^^; 이번에는 "궁리에 연관있는 속담: 정리했더니 14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멋진 사진과 함께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담을 쌓았다 헐었다 한다: 이렇게도 궁리하여 보고 저렇게도 궁리하여 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동냥자루를 찼나: 먹고도 곧 허기져서 또 먹을 궁리만 함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3) 제 살 궁리는 다 한다: 어려운 경우를 당하여도 누구나 자기가 살아갈 궁리는 다 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4) 죽은 이만 불쌍하지 산 사람은 제살이한다: 죽은 사람은 더 이상 한세상을 누릴 수 없으므로 불쌍하지만, 산 사람은 결국 제 살 궁리를 다하기 마련이며 아무리 고생스럽다고 하여도 죽은 사람에게 비할 바가 아니라는 말. (5) 사람 죽은 줄 모르고 팥죽 생각만 한..

거북에 연관있는 속담: 총 10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거북에 연관있는 속담: 총 10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꼭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옹지기는 사돈네 밥상이다: 받아먹기에 옹색한 것은 사돈집의 밥상이라는 뜻으로, 사돈집에서는 몹시 조심스럽고 거북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치질 앓는 고양이 모양 같다: 보기에 매우 초라하거나 거북하고 곤란한 모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치통 하는 모상이라: 모습이 매우 초라하거나 보기에 매우 거북하고 곤란하여 보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곰배팔이 파리 잡듯: 하는 행동이 몹시 거북스럽고 어색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거북의 털[터럭]: 거북은 털이 없다는 점에서, 도저히 구할 수 없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6) 거북이 등의[잔등이에] 털을 긁는다..

능력에 연관있는 속담: 모았더니 107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능력에 연관있는 속담: 모았더니 107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바로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어설픈 약국이 사람 죽인다: 의술에 서투른 사람이 치료해 준다고 하다가 사람을 죽이기까지 한다는 뜻으로, 능력이 없어서 제구실을 못하면서 함부로 하다가 큰일을 저지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죽인다]: 의술에 서투른 사람이 치료해 준다고 하다가 사람을 죽이기까지 한다는 뜻으로, 능력이 없어서 제구실을 못하면서 함부로 하다가 큰일을 저지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쇠붙이도 늘 닦지 않으면 빛을 잃는다: 비록 능력 있고 훌륭한 사람이라고 할지라도 꾸준히 배우고 수양을 쌓지 않으면 뒤떨어지고 잘못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

법도에 연관있는 속담: 세어보니까 3개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법도에 연관있는 속담: 세어보니까 3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일목요연하게 읽어 보세요. (1) 여우가 죽으니까 토끼가 슬퍼한다: 도대체 있을 법도 하지 않은 엉뚱한 결과를 기대하는 모양을 비웃는 말. (2) 아내 행실은 다홍치마 적부터 그루를 앉힌다: 아내나 새 며느리를 길들이고 법도를 세우려면 다홍치마를 입는 새색시 때부터 똑바로 가르쳐야 한다는 말. (3) 색시 그루는 다홍치마 적에 앉혀야 한다: 아내나 새 며느리를 길들이고 법도를 세우려면 다홍치마를 입는 새색시 때부터 똑바로 가르쳐야 한다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속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좋은 하루 되세요. 바로가기 법도에 연관있는 속담: 세어보니까 3개

요량에 관련 속담: 정리하면 3개

안녕 ^^; 오늘은 "요량에 관련 속담: 정리하면 3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일목요연하게 알아 보세요. (1) 도끼로 제 발등 찍는다: 남을 해칠 요량으로 한 것이 결국은 자기에게 해롭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나막신 신고 대동선 쫓아간다: 사람이 요량 없이 터무니없는 짓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우렁이도 두렁 넘을 꾀가 있다: 미련하고 못난 사람도 제 요량은 있어 한 가지 재주는 있다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속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정말 감사해요. 바로가기 요량에 관련 속담: 정리하면 3개

용서에 상관된 속담: 모두 9개

반가워요. 이번에는 "용서에 상관된 속담: 모두 9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꼭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숙인 머리는 베지 않는다: 항복하는 사람의 머리는 베지 않는다는 뜻으로, 잘못을 진실로 뉘우치는 사람은 관대히 용서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손이 발이 되도록[되게] 빌다: 허물이나 잘못을 용서하여 달라고 간절히 빎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죄짓고 못 산다: 죄를 지으면 불안과 가책으로 고통을 당하게 되므로 죄를 짓지 말며, 이미 지은 죄는 털어놓고 용서를 받아야 한다는 말. (4) 한 알 까먹은 새도 날린다: 하나의 낟알을 까먹은 새도 쫓아 버린다는 뜻으로, 사소한 재물을 침범하는 것도 용서하지 말고 단호히 대처하라고 이르는 말. (5) 비는 놈한테 져야 한다: 자기의 잘못을..

결점에 관련있는 속담: 모두 21개

좋은 하루 ^^; 오늘은 "결점에 관련있는 속담: 모두 21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사진과 함께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언청이 아니면 일색: 어떤 결점이 몹시 두드러진 경우에, 그 결점만 없으면 훌륭하고 완전하다고 비꼬는 말. (2) 쇠뿔 잡다가 소 죽인다: 어떤 것 또는 어떤 사람의 결점이나 흠을 고치려다 그 정도가 지나쳐서 도리어 그 사물이나 사람을 망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뒤를 캐면 삼거웃이 안 나오는 집안이 없다: 누구나 결점을 찾으려고 애쓴다면 허물이 없는 사람은 없다는 말. (4) 똥 벌레가 제 몸 더러운 줄 모른다: 사람은 제 자신의 잘못이나 결점은 모른다는 말. (5) 제 자식 잘못은 모른다: 자기 자식의 결점은 눈에 잘 비치지 아니한다는 말. (6)..

따뜻에 연관된 속담: 모아보면 3개

좋은 하루 ^^; 이번에는 "따뜻에 연관된 속담: 모아보면 3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사진과 함께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복장이 따뜻하니까 생시가 꿈인 줄 안다: 마음이 편안하고 걱정이 없으니 마치 꿈속에서 사는 것같이 여긴다는 뜻으로, 무사태평하여 눈앞에 닥치는 걱정을 모르고 지냄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2) 창호지 한 날은 덥고 이불 꾸민 날은 춥다: 창호지를 새로 바르면 바람구멍이 막혀 방이 즉시 더워지지만 새로 꾸민 이불은 자리가 잡힌 이불보다 따뜻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3) 초저녁 구들이 따뜻해야 새벽 구들이 따뜻하다: 먼저 된 일이 잘되어야 그에 따른 일도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속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좋은 자료를..

사상에 연관된 속담: 전부 4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사상에 연관된 속담: 전부 4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쉽게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자식 겉 낳지 속은 못 낳는다: 부모는 자식의 육체를 낳은 것이지 그의 사상이나 속마음을 낳은 것은 아니라는 뜻으로, 자기의 자식이라도 그 속에 품은 생각은 알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사람이 되고라야 글이 소용 있다: 사상이 바로 서고 교양 있는 참된 사람이 된 다음에라야 지식이 소용 있는 법이란 뜻으로, 아무리 지식이 많아도 행동이 사람답지 못하면 그 지식이 쓸모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검은 데 가면 검어지고 흰 데 가면 희어진다: 주위 환경이 사람의 사상이나 성격에 큰 영향을 줌을 이르는 말. (4) 부모가 자식을 겉 낳았지 속 낳았나: 부모는 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