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속담모음 1075

대단치에 관련 속담: 세어보니까 12개

좋은 하루 ^^; 이번에는 "대단치에 관련 속담: 세어보니까 12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멋진 사진과 함께 확인해 보세요. (1) 더운죽에 혀 데기: 대단치 않은 일에 낭패를 보아 비록 짧은 동안이나마 어찌할 바를 모르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여름 불도 쬐다 나면 섭섭하다: 당장에 쓸데없거나 대단치 않게 생각되던 것도 막상 없어진 뒤에는 아쉽게 생각된다는 말. (3) 오뉴월 겻불도 쬐다 나면 서운하다[섭섭하다]: 당장에 쓸데없거나 대단치 않게 생각되던 것도 막상 없어진 뒤에는 아쉽게 생각된다는 말. (4) 짚불도 쬐다 나면 섭섭하다: 당장에 쓸데없거나 대단치 않게 생각되던 것도 막상 없어진 뒤에는 아쉽게 생각된다는 말. (5) 냉수 먹고 된똥 눈다: 대단치 않은 재료로 실속 있는 결과를 만..

흥미에 상관된 속담: 세어보니까 3개

좋은 하루 ^^; 오늘은 "흥미에 상관된 속담: 세어보니까 3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오늘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남의 집 불구경 않는 군자 없다: 사람의 행동이 도덕적인 일보다 흥미로운 일에 더 많이 지배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비둘기 마음은 콩밭에 있다: 자기에게 이득이 있거나 자기가 흥미를 가지는 것에 대하여서만 관심을 갖고 정신을 파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고양이 고막 조개 보기: 고양이가 고막 조개를 보고도 무엇인지 몰라서 보기만 한다는 뜻으로, 속내를 모르기 때문에 보기만 할 뿐 아무런 관심이나 흥미도 안 가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속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감사!! 바로가기 흥미에 상관된 속담..

기에 관한 속담: 모았더니 16개

반가워요. 오늘은 "기에 관한 속담: 모았더니 16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멋진 사진과 함께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똑똑한 사람도 몰아주면 머저리가 된다: 아무리 똑똑한 사람도 여러 사람이 몰아내고 따돌리면 기를 펴지 못함을 이르는 말. (2) 조석 싸 가지고 말리러 다닌다: 기를 쓰고 하지 못하게 말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중놈 장에 가서 성내기: 눈앞에서는 꼼짝도 못 하면서 안 보는 데서는 기를 올리거나 뒷말을 함을 이르는 말. (4) 호박 나물에 힘쓴다: 쓸데없는 일에 공연히 혼자 기를 쓰고 화를 내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침 먹은 지네: 할 말이 있어도 못하고 있거나 겁이 나서 기를 펴지 못하고 꼼짝 못 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6) ..

기러기에 관한 속담: 정리했더니 17개

반갑습니다. 오늘은 "기러기에 관한 속담: 정리했더니 17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멋진 사진과 함께 읽어 보세요. (1) 어미 본 아기 물 본 기러기: 언제 만나도 좋은 사람을 보고 기뻐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2) 물 본 기러기 산 넘어가랴: 그리운 사람을 본 이가 그대로 지나쳐 가 버릴 리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꽃 본 나비 (물 본 기러기): 남녀 간에 정이 깊어 떨어지지 못하는 즐거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물 없는 기러기: 쓸모없고 보람 없게 된 처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제비가 기러기의 뜻을 모른다: 평범한 사람은 속이 깊은 사람의 뜻을 짐작할 수 없다는 말. (6) 물 본 기러기 꽃 본 나비: 바라던 바를 이루어 득의양양함을 이르는 말. (7) 물 본 ..

손톱에 상관있는 속담: 모았더니 19개

좋은 하루 ^^; 오늘은 "손톱에 상관있는 속담: 모았더니 19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간단히 확인해 보세요. (1) 손톱에 장을 지지겠다: 상대편이 어떤 일을 하는 것에 대하여 도저히 할 수가 없을 것이라고 장담할 때 하는 말. (2) 손톱 밑에 가시 드는 줄은 알아도 염통 밑에 쉬스는 줄은 모른다: 눈앞에 보이는 사소한 이해관계에는 밝아도, 잘 드러나지 아니하는 큰 문제는 잘 깨닫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손톱 밑의 가시: 손톱 밑에 가시가 들면 매우 고통스럽고 성가시다는 뜻으로, 늘 마음에 꺼림칙하게 걸리는 일을 이르는 말. (4) 손톱 밑의 가시가 생손으로 곪는다: 손톱 밑에 박혔던 가시가 덧나서 생인손으로 악화되어 크게 고생한다는 뜻으로, 사소한 것 때문에 큰 해를 입게 됨을..

마음에 연관있는 속담: 다 합치면 361개

안녕 ^^; 오늘은 "마음에 연관있는 속담: 다 합치면 361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일목요연하게 읽어 보세요. (1) 마음이 열두 번씩 변사(變詐)를 한다: 마음이 요변스럽게 변함을 이르는 말. (2) 숙맥이 상팔자: 콩인지 보리인지를 구별하지 못하는 사람이 팔자가 좋다는 뜻으로, 모르는 것이 마음 편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마음이 지척이면 천 리도 지척이라: 서로 정이 깊고 가까우면 멀리 떨어져 있어도 가깝게 느껴짐을 이르는 말. (4) 숲이 커야 짐승이 나온다[든다]: 체격이 큰 사람이 마음도 그만큼 넓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나 먹자니 싫고 개 주자니 아깝다: 자기에게 소용이 없으면서도 남에게는 주기 싫은 인색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6) 나그네 먹던 김칫국도 먹자..

무렵에 관련 속담: 정리했더니 12개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무렵에 관련 속담: 정리했더니 12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쉽게 읽어 보세요. (1) 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 글자 뜻으로만 보면 대한이 소한보다 추워야 할 것이나 사실은 소한 무렵이 더 추운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소한 얼음 대한에 녹는다: 글자 뜻으로만 보면 대한이 소한보다 추워야 할 것이나 사실은 소한 무렵이 더 추운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소한의 얼음 대한에 녹는다: 글자 뜻으로만 보면 대한이 소한보다 추워야 할 것이나 사실은 소한 무렵이 더 추운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추운 소한은 있어도 추운 대한은 없다: 글자 뜻으로만 보면 대한이 소한보다 추워야 할 것이나 사실은 소한 무렵이 더 추운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냥에 연관있는 속담: 전부 49개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냥에 연관있는 속담: 전부 49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꼭 읽어 보세요. (1) 막밀어 열닷 냥 금: 어떤 일을 구체적으로 정확히 따져 보지 아니하고 대충 한 부류로 처리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만 냥의 돈인들 무슨 소용이냐: 아무리 가치 있는 것이라도 직접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소용이 없다는 말. (3) 말만 잘하면 천 냥 빚도 가린다: 말은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이니 말할 때는 애써 조심하라는 말. (4) 말만 잘하면 천 냥 빚도 가린다: 말을 잘하는 사람은 처세에 유리하다는 말. (5) 도둑의 때는 벗어도 화냥의 때는 못 벗는다: 부정한 품행을 삼가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6) 열 고을 화냥년이 한 고을의 지어미 된다: 행실이 곱지 못..

건성건성에 관련된 속담: 정리했더니 8개

안녕 ^^; 오늘은 "건성건성에 관련된 속담: 정리했더니 8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멋진 사진과 함께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나그네 말죽 먹이듯: 반갑지 아니한 나그네가 타고 온 말에게 마지못해 죽을 먹이듯 한다는 뜻으로, 일을 건성건성 해치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미꾸라지 밸 따듯: 미끄러워서 따기가 힘든 미꾸라지의 배알을 따는 것처럼 한다는 뜻으로, 일을 건성건성 형식적으로 처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개 머루[약과] 먹듯: 내용이 틀리거나 말거나 일을 건성건성 날려서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처남의 댁네 병 보듯: 처남의 아내가 앓는 병에 대하여 가슴 아파하지 않고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는 뜻으로, 일을 진심으로 하지 않고 건성건성으로 함을 비유적으로 이..

난전에 연관된 속담: 세어보니까 3개

안녕 ^^; 오늘은 "난전에 연관된 속담: 세어보니까 3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간단히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난전 몰리듯: 육주비전 각전에서 그곳의 물건을 몰래 훔쳐다가 파는 난전을 무섭게 몰아치듯 한다는 뜻으로, 정신을 차리지 못할 만큼 매우 급히 몰아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각전의 난전 몰듯: 육주비전 각전에서 그곳의 물건을 몰래 훔쳐다가 파는 난전을 무섭게 몰아치듯 한다는 뜻으로, 정신을 차리지 못할 만큼 매우 급히 몰아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난전 치듯: 마구 단속하여 닥치는 대로 물건을 압수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속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감사합니다. 바로가기 난전에 연관된 속담: 세어보니까 3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