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속담모음 1075

추잡에 연관있는 속담: 모았더니 8개

안녕 ^^; 오늘은 "추잡에 연관있는 속담: 모았더니 8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늦기전에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도깨비 쓸개라: 무엇이나 보잘것없이 작고 추잡한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열녀전 끼고 서방질하기: 겉으로는 깨끗한 체하면서 실제로는 추잡한 행동을 하는 경우를 비꼬는 말. (3) 제 밑 핥는 개: 자기가 한 짓이 더럽고 추잡한 줄 모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행사가 개차반 같다: 몸가짐과 하는 짓이 단정하지 못하고 추잡하다는 말. (5) 비단보에 개똥[똥 (싼다)]: 겉모양은 그럴듯하게 번드르르하나 내용은 흉하거나 추잡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6) 비단 보자기에 개똥: 겉모양은 그럴듯하게 번드르르하나 내용은 흉하거나 추잡함을 비유적으로 이르..

등겨에 연관된 속담: 정리했더니 4개

안녕 ^^; 오늘은 "등겨에 연관된 속담: 정리했더니 4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오늘 감상해 보세요. (1) 등겨가 서 말만 있으면 처가살이 안 한다: 처가살이는 할 것이 못 됨을 이르는 말. (2) 등겨 먹던 개는 들키고 쌀 먹던 개는 안 들킨다: 크게 나쁜 일을 한 사람은 들키지 아니하고 그보다 덜한 죄를 지은 사람은 들키어서 애매하게 남의 허물까지 뒤집어쓰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등겨 먹던 개가 말경(末境)에는 쌀을 먹는다: 처음에 등겨를 먹던 개는 나중에 쌀에까지 눈독을 들이게 된다는 뜻으로, 나쁜 짓을 처음에는 조금씩 하다가 익숙해지면 점점 더 많이 하게 된다는 말. (4) 개 등의 등겨를 털어 먹는다: 자기보다 못사는 사람의 것을 빼앗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wordro..

당황에 상관된 속담: 모았더니 13개

안녕 ^^; 이번에는 "당황에 상관된 속담: 모았더니 13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간단히 확인해 보세요. (1) 도둑놈 소 몰듯: 당황하여 황급히 서두르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도적놈(이) 눈자위 굴리듯: 당황하여 어쩔 줄 몰라 하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급하면 관세음보살을 왼다: 중이건 속인이건 으레 급하면 관세음보살을 외는데, 그보다는 오히려 평소에 힘쓰고 닦아서 급한 일을 당하더라도 당황하지 않게 하라는 말. (4) 급하면 부처 다리를 안는다: 일이 없을 때에는 분향을 게을리하다가 졸지에 급한 일을 당하면 어쩔 줄 몰라 부처 다리를 안는다는 뜻으로, 평소에 부지런히 하여 급한 일을 당하더라도 당황하지 말라는 말. (5) 급하면 업은 아이도 찾는다: 급한 처지에..

비파에 관련 속담: 세어보니까 5개

반가워요. 이번에는 "비파에 관련 속담: 세어보니까 5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바로 감상해 보세요. (1) 치마에서 비파 소리가 난다: 아주 바쁘게 싸대어 조금도 앉아 있을 겨를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궁둥이에서 (비파) 소리가 난다: 아주 바쁘게 싸대어 조금도 앉아 있을 겨를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바지가랭이에서 비파 소리가 난다: 매우 바삐 진행되거나 움직이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바지가랭이에서 비파 소리가 난다: 어찌나 빠르게 걷는지 무릎을 꺾을 사이도 없이 마치 바짓가랑이에 자개바람이 일어난 것처럼 걷는다는 뜻으로, 매우 빨리 걷는 모양을 이르는 말. (5) 바지가랭이에서 자개바람이 인다: 어찌나 빠르게 걷는지 무릎을 꺾을 사이도 없이 마치 바짓가..

짚신장에 상관있는 속담: 총 5개

반가워요. 오늘은 "짚신장에 상관있는 속담: 총 5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지금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짚신장이 헌 신 신는다: 칼을 만드는 대장장이의 집에 오히려 식칼이 없다는 뜻으로, 어떠한 물건이 흔하게 있을 듯한 곳에 의외로 많지 않거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짚신장이 헌 신 신는다: 신을 만드는 짚신장이가 오히려 헌 신을 신는다는 뜻으로, 어떠한 물건이 흔하게 있을 듯한 곳에 의외로 많지 않거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대장의 집에 식칼이 논다: 신을 만드는 짚신장이가 오히려 헌 신을 신는다는 뜻으로, 어떠한 물건이 흔하게 있을 듯한 곳에 의외로 많지 않거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대장장이 집에 식칼이 놀고 미장이 집에 구들장 빠진 게 삼 년 간..

개천에 관련 속담: 모아보면 21개

반가워요. 이번에는 "개천에 관련 속담: 모아보면 21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오늘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개천에서 용 난다: 미천한 집안이나 변변하지 못한 부모에게서 훌륭한 인물이 나는 경우를 이르는 말. (2) 용이 개천에 빠지면 모기붙이 새끼가 엉겨 붙는다: 아무리 좋은 처지에 있던 사람이라도 불행한 경우나 환경에 빠지게 되면 하찮은 사람에게서까지 모욕을 당하고 괄시를 받게 된다는 말. (3) 개천에 든 소: 이리하거나 저리하거나 풍족한 형편에 놓인 사람 또는 그런 형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입이 걸기가 사복개천 같다: 말을 조금도 삼가지 아니하고 상스럽게 함부로 지껄이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개천에 내다 버릴 종 없다: 살림을 하노라면 쓸모없어 보이는 쪽..

튼튼에 상관된 속담: 다 합치면 8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튼튼에 상관된 속담: 다 합치면 8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꼭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모래 위에 선 누각[집]: 기초가 튼튼하지 못하여 곧 허물어질 수 있는 물건이나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돌절구도 밑 빠질 때가 있다: 아무리 튼튼한 것이라도 영구불변한 것은 없다는 말. (3) 항우 보고 앙증하다고 한다: 크고 튼튼한 것을 잘못 알고 작고 깜찍하다고 한다는 말. (4) 박달나무 그루에 싸리나무 가지가 돋아날 수 없다: 박달나무의 그루터기에서 싸리나무가 돋아날 수 없다는 뜻으로, 건강하고 튼튼한 부모에게서 연약한 자식이 태어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부잣집 외상보다 비렁뱅이 맞돈이 좋다: 장사에는 아무리 튼튼한 자리나 신용이 있더라도 외상..

조에 관련있는 속담: 세어보니까 76개

반갑습니다. 오늘은 "조에 관련있는 속담: 세어보니까 76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오늘 알아 보세요. (1) 수수깡도 아래위 마디가 있다: 아래위 분간이 어려운 수수깡조차도 아랫마디와 윗마디가 나뉘어 있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나 위아래가 있고 질서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수숫대도 아래위 마디가 있다: 아래위 분간이 어려운 수수깡조차도 아랫마디와 윗마디가 나뉘어 있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나 위아래가 있고 질서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수수깡도 아래위 마디가 있다: 아래위 분간이 어려운 수숫대조차도 아랫마디와 윗마디가 나뉘어 있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나 위아래가 있고 질서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시골 놈 제 말 하면 온다: 깊은 시골에 있는 사람조차도 저에 대..

때문에 관한 속담: 찾아보았더니 105개

반가워요. 오늘은 "때문에 관한 속담: 찾아보았더니 105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간단히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대포로 참새를 쏘는 격: 보잘것없는 일이나 사물 때문에 엄청나게 큰 대책을 세우며 야단법석을 떠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어머니가 의붓어머니면 친아버지도 의붓아버지가 된다: 어머니가 계모이면 자연히 아버지는 자식보다 계모를 더 위하여 주기 때문에 아버지와 자식의 사이가 멀어진다는 말. (3) 도둑놈 개에게 물린 셈: 자신의 잘못 때문에 봉변을 당하여도 아무 말 못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얼음에 소 탄 것 같다: 얼음판 위에서 소를 탔기 때문에 언제 자빠질지 몰라 걱정스러워서 잠시도 마음을 놓지 못한다는 뜻으로, 어쩔 줄 모르고 쩔쩔매는 모양..

교만에 관련 속담: 정리하면 6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교만에 관련 속담: 정리하면 6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쉽게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반지빠르기는 제일이라: 똑똑한 체하나 실은 모두가 반지빨라서 하나도 쓸데가 없다는 뜻으로, 되지도 못한 것이 교만스러워 아주 얄밉다는 말. (2) 아망위에 턱을 걸었나: 뒤에서 돌보아 주는 힘을 믿고 교만하게 행동하는 경우를 비꼬는 말. (3) 하늘을 쓰고 도리질한다: 세력을 믿고 기세등등하여 아무것도 거리낌 없이 제 세상인 듯 교만하고 방자하게 거들먹거림을 비꼬는 말. (4) 부잣집 맏며느릿감이다[맏며느리 같다]: 의젓하기는 하나 마음이 교만한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맛없는 국이 뜨겁기만 하다: 사람답지 못한 자가 교만하고 까다롭게 군다는 말. (6) 못된 음식이 뜨겁기만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