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제별한자어 1329

앞날에 상관있는 한자어: 정리하면 13개

좋은 하루 ^^; 오늘은 "앞날에 상관있는 한자어: 정리하면 13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오늘 확인해 보세요. (1) 長遠之計(장원지계): 먼 앞날에 대한 계획. 길 장(長), 멀 원(遠), 갈 지(之), 셀 계(計) (2) 萬里長城(만리장성): (1)중국의 북쪽에 있는 성. 서쪽 간쑤성(甘肅省)의 자위관(嘉峪關)에서 시작하여 동쪽 허베이성(河北省)의 산하이관(山海關)에 이른다. 춘추 전국 시대의 조(趙)ㆍ연(燕) 등이 변경 방위를 위하여 쌓아서 만든 것을 진(秦)의 시황제가 크게 증축하여 완성하였다. 지금 남아 있는 것은 명나라가 몽골의 침입에 대비하여 쌓은 것이다. 길이는 2,700km. (2)서로 넘나들지 못하게 가로막는 크고 긴 장벽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창창한 앞날을 비유적으로 이..

처단에 관련있는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3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처단에 관련있는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3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지금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徑先處斷(경선처단): 범인의 진술을 기다리지 않고 처단하는 일. 지름길 경(徑), 먼저 선(先), 머무를 처(處), 끊을 단(斷) (2) 快刀亂麻(쾌도난마): 잘 드는 칼로 마구 헝클어진 삼 가닥을 자른다는 뜻으로, 어지럽게 뒤얽힌 사물을 강력한 힘으로 명쾌하게 처리함을 이르는 말. 쾌할 쾌(快), 칼 도(刀), 삼 마(麻) (3) 泣斬馬謖(읍참마속): 큰 목적을 위하여 자기가 아끼는 사람을 버림을 이르는 말. ≪삼국지≫의 〈마속전(馬謖傳)〉에 나오는 말로, 중국 촉나라 제갈량이 군령을 어기어 가정(街亭) 싸움에서 패한 마속을 눈물을 머금고 참형에 처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울 읍..

집이에 관련있는 한자어: 세어보니까 9개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집이에 관련있는 한자어: 세어보니까 9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오늘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不蔽風雨(불폐풍우): 집이 허술하여서 바람과 비를 가리지 못함. 아니 불(不), 가릴 폐(蔽), 바람 풍(風), 비 우(雨) (2) 碧海黃龍宅靑松白鶴樓(벽해황용택청송백학루): 푸른 바다는 누런 용의 집이요, 푸른 소나무는 흰 학의 누각(樓閣)임. 푸를 벽(碧), 바다 해(海), 누를 황(黃), 집 택(宅), 푸를 청(靑), 솔 송(松), 흰 백(白), 학 학(鶴), 다락 루(樓) (3) 家負疎族聚(가부소족취): 집이 가난하게 되면 어진 아내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넉넉히 지낼 때는 몰랐으나 궁박(窮迫)한 형편(形便)에 놓이고 보니 어진 관리자(管理者)를 생각하게 된다는 말. 집 ..

층층에 연관된 한자어: 총 5개

반가워요. 이번에는 "층층에 연관된 한자어: 총 5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꼭 알아 보세요. (1) 層層侍下(층층시하): 부모, 조부모 등의 어른들을 모시고 사는 처지. 층 층(層), 층 층(層), 모실 시(侍), 아래 하(下) (2) 累卵之勢(루란지세): (1)층층이 쌓아 놓은 알의 형세라는 뜻으로, 몹시 위태로운 형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누란지세’의 북한어. 알 란(卵), 갈 지(之), 기세 세(勢) (3) 層生疊出(층생첩출): 일이 여러 가지로 겹쳐서 자꾸 생겨남. 층 층(層), 날 생(生), 겹쳐질 첩(疊), 날 출(出) (4) 累卵(누란): 층층이 쌓아 놓은 알이란 뜻으로, 몹시 위태로운 형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알 란(卵) (5) 累卵之危(누란지위): 층층이 쌓아 놓은 알의 ..

열흘에 상관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3개

좋은 하루 ^^; 이번에는 "열흘에 상관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3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오늘 읽어 보세요. (1) 駑馬十駕(노마십가): 느리고 둔한 말도 준마의 하룻길을 열흘에는 갈 수 있다는 뜻으로, 둔하고 재능이 모자라는 사람도 열심히 하면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둔할 노(駑), 말 마(馬), 열 십(十), 멍에 가(駕) (2) 花無十日紅(화무십일홍): 열흘 동안 붉은 꽃은 없다는 뜻으로, 한 번 성한 것이 얼마 못 가서 반드시 쇠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꽃 화(花), 없을 무(無), 열 십(十), 날 일(日), 붉을 홍(紅) (3) 五風十雨(오풍십우): 닷새에 한 번씩 바람이 불고 열흘 만에 한 번씩 비가 온다는 뜻으로, 날씨가 순조롭고 풍년이 들어 천하가 태..

폭정에 상관있는 한자어: 정리하면 3개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폭정에 상관있는 한자어: 정리하면 3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편하게 읽어 보세요. (1) 炮烙之刑(포락지형): (1)뜨겁게 달군 쇠로 살을 지지는 형벌. (2)중국 은나라 주왕(紂王) 때, 기름칠한 구리 기둥을 숯불 위에 걸쳐 놓고 죄인을 그 위로 건너가게 하던 형벌. 구울 포(炮), 지질 락(烙), 갈 지(之), 형벌 형(刑) (2) 率獸食人(솔수식인): 짐승을 거느리고 와서 사람을 잡아먹게 한다는 뜻으로, 위정자가 폭정으로 백성을 고통스럽게 함을 이르는 말. 거느릴 솔(率), 짐승 수(獸), 밥 식(食), 사람 인(人) (3) 殷鑑不遠(은감불원): 거울삼아 경계하여야 할 전례(前例)는 가까이 있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실패를 자신의 거울로 삼으라는 말. ≪시경≫의 에 나오는 ..

거듭에 상관된 한자어: 모아보면 18개

좋은 하루 ^^; 오늘은 "거듭에 상관된 한자어: 모아보면 18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지금 알아 보세요. (1) 雪上加霜(설상가상):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 눈 설(雪), 위 상(上), 더할 가(加), 서리 상(霜) (2) 屋下架屋(옥하가옥): 지붕 아래 또 지붕을 만든다는 뜻으로, 선인(先人)들이 이루어 놓은 일을 후세의 사람들이 무익하게 거듭하여 발전한 바가 조금도 없음을 이르는 말. 집 옥(屋), 아래 하(下), 시렁 가(架), 집 옥(屋) (3) 七顚八起(칠전팔기): 일곱 번 넘어지고 여덟 번 일어난다는 뜻으로, 여러 번 실패하여도 굴하지 아니하고 꾸준히 노력함을 이르는 말. 일곱 칠(七), 넘어질 전(顚), 여덟 팔(八),..

회유에 관련있는 한자어: 전부 3개

좋은 하루 ^^; 오늘은 "회유에 관련있는 한자어: 전부 3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바로 알아 보세요. (1) 厚往薄來(후왕박래): 갈 때는 후하게 하고, 올 때는 박하게 한다는 뜻으로, 과거 왕이 제후에게 돌아갈 때는 후하게 선물을 내리고, 조회를 올 때는 공물을 적게 바치게 함으로써 제후나 신하를 회유(懷柔)하는 방법을 이르는 말. 두터울 후(厚), 갈 왕(往), 엷을 박(薄), 올 래(來) (2) 藥籠中物(약롱중물): (1)병을 고치는 약처럼 사람의 잘못을 고치도록 하는 것. (2)약롱 속의 약품이라는 뜻으로, 꼭 필요한 사람을 이르는 말. (3)가까이 사귀어 자기편으로 만든 사람. 약 약(藥), 대그릇 롱(籠), 가운데 중(中), 만물 물(物) (3) 柔遠能邇(유원능이): 먼 곳은 회유하고..

충고에 연관있는 한자어: 모았더니 10개

안녕 ^^; 오늘은 "충고에 연관있는 한자어: 모았더니 10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사진과 함께 알아 보세요. (1) 頂門一針(정문일침): 정수리에 침을 놓는다는 뜻으로, 사람의 급소를 짚어 따끔한 훈계를 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정수리 정(頂), 문 문(門), 한 일(一), 바늘 침(針) (2) 逆耳之言(역이지언): 귀에 거슬리는 말이라는 뜻으로, 신랄한 충고를 이르는 말. 거스를 역(逆), 귀 이(耳), 갈 지(之), 말씀 언(言) (3) 折檻(절함): (1)강경하게 간(諫)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한(前漢)의 주운(朱雲)이 성제(成帝)에게 간하니 성난 임금이 그를 끌어내라고 하자, 어전의 난간을 붙잡고 계속 간하다가 그가 잡았던 난간이 부러졌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한서(漢書)≫의 에 나오..

실상에 관련된 한자어: 모두 18개

반가워요. 이번에는 "실상에 관련된 한자어: 모두 18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멋진 사진과 함께 감상해 보세요. (1) 虛名無實(허명무실): 헛된 이름뿐이고 실속이 없음. 빌 허(虛), 이름 명(名), 없을 무(無), 열매 실(實) (2) 無生(무생): (1)모든 법의 실상(實相)은 나고 없어짐이 없음. (2)모든 미로(迷路)를 초월한 경지. (3)생사를 이미 초월하여 배울 만한 법도가 없게 된 경지의 부처. 없을 무(無), 날 생(生) (3) 適本主義(적본주의): 목적(目的)은 다른 곳에 있는 것처럼 꾸미고, 실상(實相)은 그 하고자 하는 목적(目的)으로 나아가는 일. 갈 적(適), 밑 본(本), 주인 주(主), 옳을 의(義) (4) 伐齊爲名(벌제위명): 겉으로는 어떤 일을 하는 체하고 속으로는 딴짓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