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제별한자어 1329

유교에 관련된 한자어: 모았더니 11개

안녕 ^^; 오늘은 "유교에 관련된 한자어: 모았더니 11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편하게 읽어 보세요. (1) 三不去(삼불거): 유교에서, 칠거지악을 범한 아내일지라도 버리지 못하는 세 가지 경우. 부모의 삼년상을 같이 치렀거나, 장가들 때 가난했다가 나중에 부자가 되었거나, 아내가 돌아가도 의지할 데가 없는 경우이다. 석 삼(三), 아니 불(不), 갈 거(去) (2) 三綱五倫(삼강오륜):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과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통틀어 이른다. 석 삼(三), 벼리 강(綱), 다섯 오(五), 인륜 륜(倫) (3) 夫爲婦綱(부위부강): 삼강(三綱)의 하나.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

청빈에 연관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7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청빈에 연관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7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바로 확인해 보세요. (1) 簞食瓢飮(단사표음):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대광주리 단(簞), 밥 사(食), 박 표(瓢), 마실 음(飮) (2) 陋巷簞瓢(누항단표): (1)‘누항단표’의 북한어. (2)누항에서 먹는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선비의 청빈한 생활을 이르는 말. 거리 항(巷), 대광주리 단(簞), 박 표(瓢) (3) 曲肱之樂(곡굉지락): 베개가 없어서 팔을 구부려 베고 잘 정도로 가난하지만 그러한 삶에 만족하는 즐거움을 이르는 말. 굽을 곡(曲), 팔 굉(肱), 갈 지(之), 즐거울 락(樂) (4) 舍車而徒(..

제사상에 연관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7개

좋은 하루 ^^; 오늘은 "제사상에 연관있는 한자어: 정리했더니 7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바로 확인해 보세요. (1) 頭東尾西(두동미서):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따위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 일. 머리 두(頭), 동녘 동(東), 꼬리 미(尾), 서녘 서(西) (2) 左脯右醯(좌포우혜): 제사상을 차릴 때에 육포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 일. 왼 좌(左), 포 포(脯), 오른쪽 우(右), 초 혜(醯) (3) 酒果脯醯(주과포혜): 술ㆍ과일ㆍ육포ㆍ식혜라는 뜻으로, 간략한 제물(祭物)을 이르는 말. 술 주(酒), 실과 과(果), 포 포(脯), 초 혜(醯) (4) 紅東白西(홍동백서): 제사상을 차릴 때에 붉은 과실은 동쪽에 흰 과실은 서쪽에 놓는 일. 붉을 홍(紅), 동녘 동..

묘지에 상관있는 한자어: 전부 4개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묘지에 상관있는 한자어: 전부 4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일목요연하게 알아 보세요. (1) 互相入葬(호상입장): 서로 장례를 들인다는 뜻으로, 친족을 한 묘지에 장사지낸다는 뜻으로 쓰이거나, 주인이 없는 산에 아무나 마음대로 장사지냄을 이르는 말. 서로 호(互), 서로 상(相), 들 입(入), 장사지낼 장(葬) (2) 三遷之敎(삼천지교): 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 맹자 어머니가 집을 시전 근처로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이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것으로,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를 하였음을 이르는 말. 석 삼(三), 옮길 천(遷), 갈 지(之), 가르칠 교(敎) (3)..

먼저에 상관된 한자어: 모아보면 4개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먼저에 상관된 한자어: 모아보면 4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사진과 함께 읽어 보세요. (1) 弱者先手(약자선수): 바둑이나 장기 따위에서, 수가 약한 사람이 선수가 되어 먼저 두는 일. 약할 약(弱), 놈 자(者), 먼저 선(先), 손 수(手) (2) 換奪(환탈): (1)뼈대를 바꾸어 끼고 태를 바꾸어 쓴다는 뜻으로, 고인의 시문의 형식을 바꾸어서 그 짜임새와 수법이 먼저 것보다 잘되게 함을 이르는 말. (2)사람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변하여 전혀 딴사람처럼 됨. 바꿀 환(換), 빼앗을 탈(奪) (3) 換骨(환골): (1)뼈대를 바꾸어 낀다는 뜻으로, 고인의 시문의 형식을 바꾸어서 그 짜임새와 수법이 먼저 것보다 잘되게 함을 이르는 말. (2)사람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변하여 전..

공경에 관련 한자어: 다 합치면 43개

반가워요. 오늘은 "공경에 관련 한자어: 다 합치면 43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바로 감상해 보세요. (1) 上和下睦(상화하목): 위에서 사랑하고 아래에서 공경(恭敬)함으로써 화목(和睦)이 됨. 위 상(上), 고를 화(和), 아래 하(下), 화목할 목(睦) (2) 嗟爾小子敬受此(書차이소자경수서): 자, 너희 어린이들아! 공경(恭敬)하는 마음으로 이글을 받아들여야 함. (3) 敬畏之心(경외지심): 공경하면서 두려워하는 마음. 공경 경(敬), 두려워할 외(畏), 갈 지(之), 마음 심(心) (4) 洞洞屬屬(동동촉촉): 공경하고 삼가며 매우 조심스러움. 골 동(洞), 골 동(洞), 붙을 촉(屬), 붙을 촉(屬) (5) 崇祖尙門(숭조상문): 조상을 우러러 공경하고 문중(門中)을 위함. 높을 숭(崇), 할아..

싫증에 상관된 한자어: 정리하면 3개

반갑습니다. 오늘은 "싫증에 상관된 한자어: 정리하면 3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편하게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猶爲不足(유위부족): 오히려 부족함. 오히려 유(猶), 할 위(爲), 아닌가 부(不), 발 족(足) (2) 朝夕不倦(조석불권): 아침부터 저녁까지 싫증을 내지 아니함. 아침 조(朝), 저녁 석(夕), 아니 불(不), 게으를 권(倦) (3) 厭離穢土(염리예토): 사바의 더러움을 싫어하고 불가에 인연 맺는 것을 좋아하는 일. 싫어할 염(厭), 떠날 리(離), 더러울 예(穢), 흙 토(土)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감사!! 바로가기 싫증에 상관된 한자어: 정리하면 3개

엉망에 연관된 한자어: 모았더니 4개

좋은 하루 ^^; 오늘은 "엉망에 연관된 한자어: 모았더니 4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오늘 알아 보세요. (1) 末如之何(말여지하): 아주 엉망이 되어서 어찌할 도리가 없음. 끝 말(末), 같을 여(如), 갈 지(之), 어찌 하(何) (2) 風飛雹散(풍비박산): 사방으로 날아 흩어짐. 바람 풍(風), 날 비(飛), 우박 박(雹), 흩을 산(散) (3) 滿身瘡痍(만신창이): 온몸이 상처라는 뜻으로, 전신(全身)이 상처투성이라는 의미. 찰 만(滿), 몸 신(身), 부스럼 창(瘡), 상처 이(痍) (4) 百孔千瘡(백공천창): (1)온통 구멍과 상처투성이라는 뜻으로, 온갖 폐단과 결함으로 엉망진창이 된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옷이 여기저기 구멍이 나고 갈기갈기 찢어져 못 쓰게 된 상태를 이르는 말...

발생에 상관된 한자어: 모아보면 3개

반가워요. 이번에는 "발생에 상관된 한자어: 모아보면 3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바로 알아 보세요. (1) 利害得失(이해득실): (1)‘이해득실’의 북한어. (2)이로움과 해로움과 얻음과 잃음을 아울러 이르는 말. 해칠 해(害), 얻을 득(得), 잃을 실(失) (2) 屍山血海(시산혈해): 사람의 시체가 산같이 쌓이고 피가 바다같이 흐름을 이르는 말. 주검 시(屍), 메 산(山), 피 혈(血), 바다 해(海) (3) 下方値換(하방치환): 화학(化學) 실험(實驗) 때 발생(發生)하는 무겁고 물에 잘 녹는 기체(氣體)를 관으로 용기(容器) 바닥에 끌어들이고 공기(空氣)를 내보내는 일. 아래 하(下), 모 방(方), 값 치(値), 바꿀 환(換)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한자어/사자성어/한자성어도 체계..

동이에 연관있는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4개

안녕 ^^; 이번에는 "동이에 연관있는 한자어: 찾아보았더니 4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편하게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陶者用缺盆(도자용결분): 도공(陶工)은 깨진 동이만 사용(使用)한다는 뜻으로, 남을 위(爲)해서는 하지만 자기(自己)를 위(爲)해서는 하지 못함을 두고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질그릇 도(陶), 놈 자(者), 쓸 용(用), 이지러질 결(缺), 동이 분(盆) (2) 戴盆望天(대분망천): 머리에 동이를 이고 하늘을 바라보려 한다는 뜻으로, 한 번에 두 가지 일을 함께 하기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대(戴), 동이 분(盆), 바랄 망(望), 하늘 천(天) (3) 鼓盆(고분): 물동이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아내의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장자(莊子)의 아내가 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