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속담모음 1075

처가에 관련있는 속담: 정리하면 15개

반갑습니다. 오늘은 "처가에 관련있는 속담: 정리하면 15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오늘 알아 보세요. (1) 내관 처가 출입하듯: 자주 왔다 갔다 하면서도 아무런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 (2) 등겨가 서 말만 있으면 처가살이 안 한다: 처가살이는 할 것이 못 됨을 이르는 말. (3) 겉보리 서 말만 있으면 처가살이하랴: 처가살이는 할 것이 못 됨을 이르는 말. (4) 인왕산 차돌을 먹고 살기로 사돈의 밥을 먹으랴: 아무리 어렵고 고생스러워도 처가의 도움을 받아 살아가고 싶지는 아니함을 이르는 말. (5) 사위가 고우면 요강 분지를 쓴다: 사위는 처가에서 극진한 대접을 받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6) 사위가 무던하면 개 구유를 씻는다: 처가에서 사위는 극진히 대접받기 마련이기 때문에 가만히 앉아 ..

빼어에 관련있는 속담: 총 9개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빼어에 관련있는 속담: 총 9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오늘 감상해 보세요. (1) 길을 떠나려거든 눈썹도 빼어 놓고 가라: 여행을 떠날 때는 조그마한 것이라도 짐이 되고 거추장스럽다는 말. (2) 행사 후에 비녀 빼어 갈 놈: 불량하고 의리가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골무는 시어미 죽은 넋이라: 바느질하다가 빼어 놓은 골무는 얼른 다시 찾아지지 않고, 일어서서 옷이나 일감을 털어야 나온다는 말. (4) 간이라도 빼어[뽑아] 먹이겠다: 아주 친한 사이이므로 아무리 소중한 것이라도 아낌없이 내어 줄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정신은 빼어서 꽁무니에 차고 있다: 경우가 밝지 못하고 어리석으며 실수가 많은 경우를 이르는 말. (6) 버릇 배우라니까 과..

필요에 관련 속담: 다 합치면 147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필요에 관련 속담: 다 합치면 147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바로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시어미 속옷이나 며느리 속옷이나: 모두 한 집안 식구의 것이라는 뜻으로, 구태여 내 것 네 것 가릴 필요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언제 쓰자는 하눌타리냐: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필요한 때 쓰지 아니하고 쌓아 두기만 하면 소용이 없다는 말. (3) 빌어먹는 놈이 콩밥을 마다할까: 한창 궁하여 빌어먹는 판에 이밥 조밥 가릴 수 없다는 뜻으로, 자기가 아쉽거나 급히 필요한 일에는 좋고 나쁨을 가릴 겨를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빌어먹는 놈이 이밥 조밥 가리랴: 한창 궁하여 빌어먹는 판에 이밥 조밥 가릴 수 없다는 뜻으로, 자기가 아쉽거나 급히 필요한 일에는..

차에 연관된 속담: 찾아보았더니 10개

반갑습니다. 오늘은 "차에 연관된 속담: 찾아보았더니 10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간단히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도는 개는 배 채우고 누운 개는 옆 챈다: 활동하면 얻는 바가 있지만 누워서 게으름이나 피우면 옆구리나 차이기 마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나가던 범이 몰려든다: 위험한 일을 모면하여 막 마음을 놓으려던 차에 뜻밖에 다시 위험에 처하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모전 다리 다모(茶母)의 겨드랑이: 모전이 있었던 서울 무교동 초입에서 차를 팔던 다모의 저고리가 짧았다는 데서, 감질나게 하는 사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중의 벗고 환도 차는 격: 군사가 복장을 다 갖추어 입은 다음에 겉에 환도를 차게 되어 있는데 중의를 벗고 환도를 차는 것과 같다는..

낭패에 연관된 속담: 전부 49개

반가워요. 오늘은 "낭패에 연관된 속담: 전부 49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쉽게 감상해 보세요. (1) 더운죽에 혀 데기: 대단치 않은 일에 낭패를 보아 비록 짧은 동안이나마 어찌할 바를 모르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엄벙덤벙하다가 물에 빠졌다: 무슨 영문인지도 모르고 함부로 덤비다가 낭패를 보고 화를 입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여든에 능참봉을 하니 한 달에 거둥이 스물아홉 번이라: 운수가 나빠 일이 안되려면 일마다 낭패만 본다는 말. (4) 능참봉을 하니까 거둥이 한 달에 스물아홉 번이라: 운수가 나빠 일이 안되려면 일마다 낭패만 본다는 말. (5) 모처럼 능참봉을 하니까 한 달에 거둥이 스물아홉 번: 운수가 나빠 일이 안되려면 일마다 낭패만 본다는 말. (6) 칠십에..

궁에 연관있는 속담: 다 합치면 60개

안녕 ^^; 오늘은 "궁에 연관있는 속담: 다 합치면 60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꼭 읽어 보세요. (1) 시궁에서 용 난다: 미천한 집안이나 변변하지 못한 부모에게서 훌륭한 인물이 나는 경우를 이르는 말. (2) 시궁창에서 용이 났다: 미천한 집안이나 변변하지 못한 부모에게서 훌륭한 인물이 나는 경우를 이르는 말. (3) 빌어먹는 놈이 콩밥을 마다할까: 한창 궁하여 빌어먹는 판에 이밥 조밥 가릴 수 없다는 뜻으로, 자기가 아쉽거나 급히 필요한 일에는 좋고 나쁨을 가릴 겨를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빌어먹는 놈이 이밥 조밥 가리랴: 한창 궁하여 빌어먹는 판에 이밥 조밥 가릴 수 없다는 뜻으로, 자기가 아쉽거나 급히 필요한 일에는 좋고 나쁨을 가릴 겨를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곁방살이에 연관된 속담: 총 3개

안녕 ^^; 이번에는 "곁방살이에 연관된 속담: 총 3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바로 알아 보세요. (1) 곁방살이 코 곤다: 남의 집에서 곁방살이를 하는 사람이 코를 곤다는 뜻으로, 제 분수도 모르고 버릇없이 함부로 굴거나, 나그네가 오히려 주인 행세를 함을 이르는 말. (2) 곁방살이 불내기: 남에게 세를 내준 곁방에서 잘못하여 불이 일어난다는 뜻으로, 평소에 눈에 거슬리던 데서 사고가 생겨 더욱 밉다는 말. (3) 곁방 년이 코 곤다[구른다]: 남의 집에서 곁방살이를 하는 사람이 코를 곤다는 뜻으로, 제 분수도 모르고 버릇없이 함부로 굴거나, 나그네가 오히려 주인 행세를 함을 이르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속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오늘도 화이팅!!! 바로가기 곁방살이에..

인간에 관한 속담: 전부 12개

반가워요. 오늘은 "인간에 관한 속담: 전부 12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쉽게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인간은 고해(苦海)라: 괴롭고 힘든 인생살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인간은 만물의 척도: 인간이 모든 것을 판단하는 기준이 됨을 이르는 말. (3) 죽일 놈도 먹이고 죽인다: 사람을 굶기는 것은 인간의 기본적 도리가 아니라는 말. (4) 춘향이가 인도환생을 했나: 춘향이가 인간 세상에 다시 태어났느냐는 뜻으로, 마음씨 아름답고 정조가 굳은 여자를 이르는 말. (5) 벌도 법이 있지: 벌과 같은 곤충의 생활에도 일정한 질서가 있는데 하물며 사람에게 제도와 질서가 없을 수 있겠느냐는 뜻으로, 인간 사회의 무법함을 이르는 말. (6) 병신이 한 고집이 있다: 못난 인간이 고집을 부림을 비유적..

사용에 연관된 속담: 모아보면 7개

반갑습니다. 오늘은 "사용에 연관된 속담: 모아보면 7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지금 확인해 보세요. (1) 손 안 대고 코 풀기: 손조차 사용하지 아니하고 코를 푼다는 뜻으로, 일을 힘 안 들이고 아주 쉽게 해치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우물꼬니에 첫 구멍을 막는다: 상대편이 처음부터 꼼짝 못 하도록 결정적인 수를 먼저 사용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뭍에서 배 부린다: 육지에서 배를 사용한다는 뜻으로, 도저히 될 수 없는 일을 하고 있음을 비꼬는 말. (4) 하룻밤을 자도 헌 각시: 물건은 일단 사용하면 헌 것으로 간주된다는 말. (5) 석새짚신에 구슬 감기: 거칠게 만든 하찮은 물건에 고급스러운 물건을 사용한다는 뜻으로, 격에 어울리지 않는 모양이나 차림새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

관자에 관련있는 속담: 모아보면 3개

좋은 하루 ^^; 오늘은 "관자에 관련있는 속담: 모아보면 3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멋진 사진과 함께 확인해 보세요. (1) 중의 빗[망건]: 중에게는 망건에 다는 관자 구멍이 필요 없다는 뜻으로, 소용없게 된 물건이나 쓸데없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대모관자 같으면 뛰겠다: 대모관자라도 너무 자주 매었다 풀었다 하면 끊어지겠다는 뜻으로, 사람을 너무 자주 부르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망건 관자 부러진 건 고양이 북두로나 쓰지: 어떤 물건이 아무짝에도 쓸모없음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속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고맙습니다. 바로가기 관자에 관련있는 속담: 모아보면 3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