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속담모음 1075

나라에 상관된 속담: 전부 77개

반가워요. 오늘은 "나라에 상관된 속담: 전부 77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편하게 알아 보세요. (1) 나라가 망하면 충신이 욕을 본다: 한 나라의 충신들은 나라와 흥망을 같이함을 이르는 말. (2) 나라가 어지러우면 충신이 난다: 가난한 집에는 부모를 공대하는 효자가 나오고, 나라가 어지러워 반역의 무리가 날뛸 때에는 그를 반대하여 싸우는 충신이 나오게 된다는 말. (3) 나라가 없어 진상하나: 나라님에게 무엇이 없어서 진상하는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남에게 무엇을 주려는데 상대가 가지고 있다고 사양할 때 하는 말. (4) 나라가 편해야 신하가 편하다: 나라님이 편해야 그 밑의 신하들도 마음 편히 지낼 수 있다는 말. (5) 나라 고금도 잘라먹는다: 사람이 지나치게 이기적이고 욕심이 사나워 뻔뻔스럽고..

투전에 상관된 속담: 전부 3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투전에 상관된 속담: 전부 3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편하게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경위가 삼칠장이라: 투전에서 끗수가 3, 7, 10이면 끗수가 없는 판이 된다는 데에서 사물의 옳고 그름과 좋고 나쁨을 가리지 못함을 이르는 말. (2) 같잖은 투전에 돈만 잃었다: 기를 쓰고 덤빈 투전도 아닌데 돈을 잃었다는 뜻으로, 사소한 일에 손해만 보았음을 이르는 말. (3) 술은 해장에 망하고 투전은 본전 추다 망한다: 술꾼은 해장술을 마신다며 자꾸 술을 마시다 몸을 버리고, 투전꾼은 본전이나 찾는다며 계속 노름을 하다가 재산을 탕진하게 된다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속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오늘도 화이팅!!! 바로가기 투전에 상관된 속담: ..

품앗이에 관한 속담: 찾아보았더니 4개

반갑습니다. 오늘은 "품앗이에 관한 속담: 찾아보았더니 4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늦기전에 알아 보세요. (1) 오뉴월 품앗이 논둑[논두렁] 밑에 있다: 여름에 산 품을 가을에 곡식을 거둔 후에 갚게 된다는 뜻으로, 빚 갚을 날짜가 멀었음을 이르는 말. (2) 오뉴월 품앗이도 먼저[진작] 갚으랬다: 시일이 많이 남아 있다고 오래 끌지 말고 갚을 것을 미리미리 갚아야 한다는 말. (3) 인정도 품앗이라: 남이 나를 생각하여야 나도 그를 생각하게 됨을 이르는 말. (4) 진정도 품앗이라: ‘가는 정이 있어야 오는 정이 있다’의 북한 속담.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속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정말 감사해요. 바로가기 품앗이에 관한 속담: 찾아보았더니 4개

차지에 상관있는 속담: 전부 57개

좋은 하루 ^^; 오늘은 "차지에 상관있는 속담: 전부 57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멋진 사진과 함께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시어미가 죽으면 안방은 내 차지: 시어머니가 죽으면 며느리가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는 뜻으로, 권력을 잡았던 사람이 없어지면 그 다음 자리에 있던 사람이 권력을 잡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만만한 년은 제 서방 굿도 못 본다: 사람이 변변치 못하면 응당 제가 차지하여야 할 것까지도 차지하지 못하고 놓친다는 말. (3) 어머니 다음에 형수: 형수는 그 집안 살림을 맡아 하는 데 있어서 어머니 다음의 위치를 차지한다는 말. (4) 좋은 짓은 저희들끼리 하고 죽은 아이 장사는 나더러 하란다: 나쁜 짓을 해서 이익은 자기가 차지하고 그것에 대한 벌은 남보고 받..

종이에 연관있는 속담: 찾아보았더니 13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종이에 연관있는 속담: 찾아보았더니 13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일목요연하게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흰 것은 종이요 검은 것은 글씨라: 무식하여 글을 알아보지 못함을 놀리는 말. (2) 종이도 네 귀를 들어야 바르다: 종이도 네 귀를 다 들어야 어느 한 귀도 처짐이 없이 판판해진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나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힘을 합쳐야 올바르게 되어 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종잇장도 네 귀를 들어야 바르다: 종이도 네 귀를 다 들어야 어느 한 귀도 처짐이 없이 판판해진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나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힘을 합쳐야 올바르게 되어 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종이 종을 부리면 식칼로 형문(刑問)을 친다: 남에게 눌려 지내던 사람이 귀..

너에 상관있는 속담: 찾아보았더니 15개

반갑습니다. 오늘은 "너에 상관있는 속담: 찾아보았더니 15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지금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오라는 네가 지고 도적질은 내가 하마: 좋은 결과는 자기에게 돌리고 나쁜 결과는 남에게 돌리겠다는 말. (2) 나도 덩더꿍 너도 덩더꿍: 사람들이 서로 대립하여 조금도 양보하지 아니하고 버티고만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너 난 날 내 났다: 너나 나나 별다를 것이 없다는 뜻으로, 쓸데없이 잘난 척하는 사람을 책망하는 말. (4) 너는 용빼는 재주가 있느냐: 뾰족한 재주도 없이 남을 흉보는 사람을 핀잔하는 말. (5) 너의 집도 굴뚝으로 불을 때야 하겠다: 불을 거꾸로 때야 할 집이라는 뜻으로, 일이 꼬이기만 하는 집안을 이르는 말. (6) 너하고 말하느니 개하고..

삼복에 관련된 속담: 정리하면 9개

좋은 하루 ^^; 오늘은 "삼복에 관련된 속담: 정리하면 9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편하게 읽어 보세요. (1) 칠월 신선에 팔월 도깨비라: 원두막에서 지내기 때문에 칠월의 삼복더위는 시원하게 지내고 팔월의 장마는 도깨비처럼 피하여 걱정 없이 편안히 지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삼복 기간에 개 판다: 개의 값이 제일 비싼 삼복 기간에 개를 판다는 뜻으로, 일을 때맞추어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삼복 기간에는 입술에 묻은 밥알도 무겁다: 더운 삼복에는 몸을 움직이기가 몹시 힘들어 밥알 하나의 무게조차도 힘겹다는 뜻으로, 삼복 기간에 더위를 이겨 내기가 힘겨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삼복지간에는 입술에 묻은 밥알도 무겁다: 더운 삼복에는 몸을 움직이기가 몹시 힘들어 밥알 하나의 ..

삼십에 연관된 속담: 정리했더니 3개

반갑습니다. 오늘은 "삼십에 연관된 속담: 정리했더니 3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사진과 함께 알아 보세요. (1) 남의 술에 삼십 리 간다: 남에게 술을 얻어먹기 위해서 삼십 리라는 먼 길도 간다는 뜻으로, 공짜를 좋아하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빵따냄은 삼십 집: 빵따냄의 위력이 삼십 집의 위력에 상당하다는 말. (3) 이십 안 자식 삼십 안 천량: 자식은 이십 세 전에 낳고 재산은 삼십 세 전에 모아야 함을 이르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속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고맙습니다. 바로가기 삼십에 연관된 속담: 정리했더니 3개

똥개에 연관된 속담: 모두 5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똥개에 연관된 속담: 모두 5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일목요연하게 감상해 보세요. (1) 똥개도 백 마리면 범을 잡는다: 보잘것없는 힘이라도 여럿의 힘을 합치면 큰일을 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입이 개차반이다: 입이 똥개가 먹은 차반과 같이 너절하다는 뜻으로, 아무 말이나 가리지 않고 되는대로 상스럽게 마구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굶은 놈이 흰밥 조밥을 가릴까: 잔뜩 굶은 똥개가 똥이 얼었다고 마다하겠느냐는 뜻으로, 사정이 급할 때는 좋고 나쁜 것을 가리지 아니하고 덤벼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배고픈 놈이 흰쌀밥 조밥 가리랴: 잔뜩 굶은 똥개가 똥이 얼었다고 마다하겠느냐는 뜻으로, 사정이 급할 때는 좋고 나쁜 것을 가리지 아니하고 ..

대신에 관련된 속담: 모았더니 18개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대신에 관련된 속담: 모았더니 18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지금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대신 댁 송아지 백정 무서운 줄 모른다: 남의 권력만 믿고 거만을 부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대신 집 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남의 권력만 믿고 거만을 부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꿩 대신 닭: 꼭 적당한 것이 없을 때 그와 비슷한 것으로 대신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봉 아니면 꿩이다: 꼭 적당한 것이 없을 때 그와 비슷한 것으로 대신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우물귀신 잡아넣듯 하다: 우물귀신은 다른 사람을 끌어넣어 대신 귀신을 만든 다음에야 비로소 탈출할 수 있다는 미신에서 생긴 말로, 어떤 어려움이나 걱정 속에서 자기가 벗..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