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속담모음 1075

비장에 연관있는 속담: 전부 6개

안녕 ^^; 오늘은 "비장에 연관있는 속담: 전부 6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간단히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내 한 급제에 선배 비장 호사한다: 내가 잘된 덕으로 엉뚱한 남이 호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사또 덕에 비장(裨將)이[비장 나리] 호강한다: 사또를 따라다니는 낮은 관원인 비장이 사또의 권세 덕분에 좋은 대우를 받는다는 뜻으로, 남에게 붙어서 덕을 봄을 이르는 말. (3) 감사가 행차하면 사또만 죽어난다: 사또가 길을 떠나게 되니 비장은 그 준비를 갖추느라 눈코 뜰 사이 없이 바쁘다는 뜻으로, 윗사람이나 남의 일 때문에 고된 일을 하게 됨을 이르는 말. (4) 사또 행차엔 비장이 죽어난다: 감사가 길을 떠나게 되니 사또는 그 준비를 갖추느라 눈코 뜰 사이 없이 바쁘다는 뜻으로..

알뜰에 관한 속담: 전부 7개

반갑습니다. 오늘은 "알뜰에 관한 속담: 전부 7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꼭 확인해 보세요. (1) 과부는 은이 서 말이고 홀아비는 이가 서 말이다: 과부는 살림살이가 알뜰하여 규모 있게 생활하므로 경제적으로 걱정이 없지만, 홀아비는 생활이 곤궁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과부의 버선목에는 은이 가득하고 홀아비의 버선목에는 이가 가득하다: 과부는 살림살이가 알뜰하여 규모 있게 생활하므로 경제적으로 걱정이 없지만, 홀아비는 생활이 곤궁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상하사불급이오 이름만 석숭이가 되었다: 이 일 저 일 벌여 놓기만 하고 실속은 없어 알뜰하게 모은 제 재물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알뜰하고 덕 있는 며느리가 들어와야 집안이 흥한다: 살림살이가 알뜰하고 덕이 있는 며..

의주에 상관있는 속담: 정리하면 6개

안녕 ^^; 오늘은 "의주에 상관있는 속담: 정리하면 6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오늘 알아 보세요. (1) 의주 륙섬 강냉이 가렴 보고 큰다: 의주 육섬의 옥수수가 저를 사 갈 가렴의 소금 굽는 사람들을 바라면서 자란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지 희망을 걸고 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의주를 가려면서 신날도 안 꼬았다: 큰일을 하려고 하면서도 조금도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의주 파발도 똥 눌 때[새]가 있다: 아무리 급한 일이 있어도 잠시 틈을 낼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의주 파천(播遷)에도 곱똥은 누고 간다: 아무리 급한 일이 있어도 잠시 틈을 낼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송도 오이 장수: 이익을 더 많이 보려다가 그만 기회..

집안에 상관있는 속담: 정리하면 95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집안에 상관있는 속담: 정리하면 95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멋진 사진과 함께 읽어 보세요. (1) 시궁에서 용 난다: 미천한 집안이나 변변하지 못한 부모에게서 훌륭한 인물이 나는 경우를 이르는 말. (2) 개천에서 용 난다: 미천한 집안이나 변변하지 못한 부모에게서 훌륭한 인물이 나는 경우를 이르는 말. (3) 개똥밭에 인물 난다: 미천한 집안이나 변변하지 못한 부모에게서 훌륭한 인물이 나는 경우를 이르는 말. (4) 시궁창에서 용이 났다: 미천한 집안이나 변변하지 못한 부모에게서 훌륭한 인물이 나는 경우를 이르는 말. (5) 시어미 속옷이나 며느리 속옷이나: 모두 한 집안 식구의 것이라는 뜻으로, 구태여 내 것 네 것 가릴 필요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6) 양 가문 ..

빗자루에 관한 속담: 찾아보았더니 6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빗자루에 관한 속담: 찾아보았더니 6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편하게 읽어 보세요. (1) 꾸어다 놓은 보릿자루[빗자루]: 여럿이 모여 이야기하는 자리에서 아무 말도 하지 않고 한옆에 가만히 있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꾸어다 놓은 보릿자루[빗자루]: 차지하고 있는 위치에서 자기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비자루로는 개도 안 때린다: 빗자루로는 개조차도 안 때리는 법인데 인격을 존중하여야 할 사람을 빗자루로 때릴 수 없다는 뜻으로, 빗자루로 사람을 때리는 것을 말리는 경우에 이르는 말. (4) 빗자루론 개도 안 때린다: 빗자루로 사람을 때릴 때 말리면서 하는 말. (5) 가을마당에 빗자루 몽당이를 들고 춤을 추어도 농사 밑이 어둑하..

막연에 연관있는 속담: 모아보면 7개

안녕 ^^; 오늘은 "막연에 연관있는 속담: 모아보면 7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간단히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한강에 그물 놓기: 막연한 일을 어느 세월에 기다리고 있겠냐는 말. (2) 사람은 일생을 속아서 산다: 사람들은 온갖 곤란과 고통을 겪으면서도 그래도 다음번에는 좀 나아지겠거니 하는 막연한 기대 속에서 일생 동안 속으며 살아 나간다는 뜻으로, 기대와 희망과는 전혀 동떨어진 세상살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안개 낀 날 소 찾듯: 막연하게 헤매고 다니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서울에 감투 부탁: 아무리 부탁하고 요구하여도 막연하고 이루어질 가망이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세월에 속아 산다: 사람이란 현재 살아가는 것이 변변하지 못하여도..

조개에 상관된 속담: 다 합치면 18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조개에 상관된 속담: 다 합치면 18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간단히 확인해 보세요. (1) 남 켠 횃불에 조개 잡듯: 남의 덕택으로 거저 이익을 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조개껍데기는 녹슬지 않는다: 천성이 착하고 어진 사람은 다른 사람의 나쁜 습관에 물들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조개부전 이 맞듯: 부전조개의 두 짝이 빈틈없이 들어맞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사물이 서로 꼭 들어맞거나 의가 좋은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부전조개 이 맞듯: 부전조개의 두 짝이 빈틈없이 들어맞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사물이 서로 꼭 들어맞거나 의가 좋은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조개 속의 게: 조개껍데기 속에 사는 게라는 뜻으로, 아주 연약하고 ..

친정에 관련된 속담: 정리하면 13개

안녕 ^^; 이번에는 "친정에 관련된 속담: 정리하면 13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멋진 사진과 함께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시집 밥은 살이[겉 살이] 찌고 친정 밥은 뼈 살이 찐다: 시집살이하기보다 친정에서 사는 것이 훨씬 편하고 수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얼레빗 참빗 품고 가도 제 복이 있으면 잘산다: 친정이 가난하여 입은 옷과 머리빗밖에는 가지고 간 것이 없지만 잘살려면 얼마든지 행복하게 잘산다는 뜻으로, 예장(禮裝)을 많이 하여야 잘사는 것은 아니라는 말. (3) 딸은 산적 도둑이라 하네: 딸은 출가한 후에도 친정에 와서 이것저것 다 가져가 마치 도둑과 같다는 말. (4) 이고 지고 가도 제 복 없으면 못산다: 친정이 부유하여 많이 가지고 시집을 가도 못사는 사람은 잘 못..

방아에 상관있는 속담: 정리하면 35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방아에 상관있는 속담: 정리하면 35개"에 대해 소개하고 싶어요. 지금 확인해 보세요. (1) 쉬는 김에 아이 업고 집이나 지키면서 보리방아 두서 말 찧어 놓으라고 한다: 쉬운 일을 시키는 체하면서 살살 어르고 추슬러서 힘든 일을 시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시어머니가 오래 살자니까 며느리가 방아 동티에 죽는 걸 본다: 사람이 오래 살게 되면 망측한 꼴도 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시어머니 죽으라고 축수했더니 보리방아 물 부어 놓고 생각난다: 시어머니가 미워서 죽기를 빌었으나 막상 보리를 찧으려고 방아에 물을 부어 놓고 보니 시어머니가 그리워진다는 뜻으로, 미워하고 싫어하던 물건이나 사물도 막상 없어지고 나면 아쉽고 생각날 때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에 상관된 속담: 세어보니까 86개

반갑습니다. 오늘은 "사에 상관된 속담: 세어보니까 86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멋진 사진과 함께 알아 보세요. (1) 마음이 열두 번씩 변사(變詐)를 한다: 마음이 요변스럽게 변함을 이르는 말. (2) 술 사 주고 뺨 맞는다: 술을 받아서 대접해 주고는 오히려 뺨을 맞는다는 뜻으로, 남을 잘 대접하고 나서 오히려 그에게 해를 입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술 사 주고 뺨 맞는다: 술을 사서 대접해 주고는 오히려 뺨을 맞는다는 뜻으로, 남을 잘 대접하고 나서 오히려 그에게 해를 입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술을 먹으면 사촌한테 기와집도 사 준다: 술 취한 사람이 뒷감당도 못할 호언장담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술 취한 사람 사촌 집 사 준다: 술 취한 사람이 뒷감당..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