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속담모음 1075

갈매기에 관련있는 속담: 모아보면 4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갈매기에 관련있는 속담: 모아보면 4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바로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갈매기도 제집이 있다: 하찮은 까마귀나 까치들도 다 제집이 있는 법이라는 뜻으로, 집 없는 사람의 서러운 처지를 한탄하여 이르는 말. (2) 까막까치도 집이 있다: 하찮은 갈매기도 다 제집이 있는 법이라는 뜻으로, 집 없는 사람의 서러운 처지를 한탄하여 이르는 말. (3) 우렁이도 집이 있다: 하찮은 갈매기도 다 제집이 있는 법이라는 뜻으로, 집 없는 사람의 서러운 처지를 한탄하여 이르는 말. (4) 갈매기도 제집이 있다: 하찮은 우렁이도 다 제집이 있는 법이라는 뜻으로, 집 없는 사람의 서러운 처지를 한탄하여 이르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속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

만큼에 관련있는 속담: 모아보면 99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만큼에 관련있는 속담: 모아보면 99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쉽게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대소한에 소 대가리가 얼어 터진다: 살아 있는 소의 대가리가 얼어서 터질 만큼 소한과 대한의 추위가 몹시 지독하다는 말. (2) 시앗 죽은 눈물만큼: 시앗이 죽었을 때에 본처가 흘리는 눈물만큼이라는 뜻으로, 양이 몹시 적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마파람에 곡식이 혀를 빼물고 자란다: 남풍이 불기 시작하면 모든 곡식은 놀랄 만큼 무럭무럭 빨리 자란다는 말. (4) 얼음 우에 나막신 신고 다니기: 어느 순간에 무슨 변을 당할지 모를 만큼 아주 조심스럽고 위태로운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여자가 한을 품으면 오뉴월에도 서리가 내린다: 여자가 한번 마음이 틀어져 ..

경사에 관련있는 속담: 전부 6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경사에 관련있는 속담: 전부 6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꼭 읽어 보세요. (1) 좋은 날에 랭수를 끼얹다: 경사스러운 날을 맞는 사람들의 마음을 잡치게 만드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사돈(의) 잔치에 중이 참여한다: 신랑 집에서 신부 집에 구혼하는 경사스러운 일에 포도군사가 나타남은 당치 아니하다는 뜻으로, 연회나 기타의 장소에 전연 관계없는 사람이 끼어드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잔칫집에는 같이 가지 못하겠다: 언제나 경사스러운 자리에서 남의 결점을 들추어내어 남의 좋은 일을 그르치게 하는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 (4) 베감투 쓰고 잔치 집 드나든다: 사람이 죽었을 때에 쓰는 베감투를 쓰고 남의 경사스러운 잔칫집에 드나든다는 뜻으로, 격에 맞지 않게..

자신에 관한 속담: 세어보니까 136개

안녕 ^^; 오늘은 "자신에 관한 속담: 세어보니까 136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쉽게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수양딸로 며느리 삼는다: 자기에게 편한 대로 아무렇게나 일을 처리하여 자신의 이익만을 꾀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식은 밥이 밥일런가 명태 반찬이 반찬일런가: 자신에게 차례진 것이 좋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숨다 보니 포도청 집이라: 자신이 일을 저질러서 스스로 큰 화를 입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숫눈길을 걷는 사람만이 제 발자국을 남긴다: 남들이 하지 않은 일을 처음으로 개척하는 사람만이 자신이 한 일을 후세에 남길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새벽길을 걷는 사람이 첫 이슬을 턴다: 남들이 하지 않은 일을 처음..

피에 상관된 속담: 모두 43개

반가워요. 이번에는 "피에 상관된 속담: 모두 43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바로 읽어 보세요. (1) 꽃 피자 님 온다: 때맞추어 반가운 일이 생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남의 눈에서 피 내리면 내 눈에서 고름이 나야 한다: 남에게 악한 짓을 하면 자기는 그보다 더한 벌을 받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남의 친환[초상]에 단지: 남의 부모 병을 고치겠다고 손가락을 끊어 피를 내어 먹인다는 뜻으로, 남의 일에 쓸데없이 애를 태우거나 힘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돈피에 잣죽도 저 싫으면 그만이다: 아무리 좋은 일이라도 당사자의 마음이 내키지 않으면 억지로 시킬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돈피 옷 잣죽에 자랐느냐: 생활을 매우 호사스럽게만 하려고 하는 것을 비유적으..

이월에 관련된 속담: 모두 6개

반가워요. 오늘은 "이월에 관련된 속담: 모두 6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오늘 확인해 보세요. (1) 일월은 크고 이월은 작다: 한 번 좋은 일이 있으면 다음에는 궂은일도 있는 것처럼 세상사는 좋고 나쁜 일이 돌고 돈다는 말. (2) 윤이월 제사냐: 자주 돌아오지 아니하는 윤이월 제사처럼 자꾸 빼먹고 거름을 핀잔하는 말. (3) 정월 초하룻날 먹어 보면 이월 초하룻날 또 먹으려 한다: 한 번 재미를 보면 자꾸 해 보려고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이월 바람에 검은 쇠뿔이 오그라진다: 이월에 부는 바람이 세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이월에 김칫독 터진다: 이월 추위가 만만치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6) 정이월에 대독 터진다: 음력 정월과 이월쯤이 되면 으레 날씨가 풀린 것으로 ..

윷놀이에 관한 속담: 정리했더니 5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윷놀이에 관한 속담: 정리했더니 5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간단히 알아 보세요. (1) 놀기 좋아 넉동 치기: 할 일 없을 때는 윷놀이라도 한다는 뜻으로, 그냥 가만히 있느니 아무 소용 없는 놀이라도 한다는 말. (2) 사람을 왜 윷으로 보나: 윷놀이에서 윷가락 네 쪽이 다 엎어졌을 때를 ‘모’라고 하는 데서, 사람을 왜 바로 보지 않고 모로 보나 하는 뜻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3) 첫도가 세간 밑천이다: 윷놀이에서 맨 처음에 도를 친 것을 섭섭히 여기지 아니하고 기세를 돋우는 말. (4) 첫모 방정에 새 까먹는다: 윷놀이에서 맨 처음에 모를 치면 그 판에는 실속이 없다는 뜻으로, 상대편의 첫모쯤은 문제도 아니라고 비꼬는 말. (5) 단백사위 촉(蜀) 간다: 윷놀이에서, 마지..

미래에 상관있는 속담: 모았더니 3개

좋은 하루 ^^; 오늘은 "미래에 상관있는 속담: 모았더니 3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꼭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새벽달 보려고 으스름달 안 보랴: 새벽달을 보겠다고 해 질 녘에 뜨는 초저녁달을 안 보겠느냐는 뜻으로, 아직 당하지도 아니한 미래의 일만 기대하다가 눈앞의 일을 소홀히 하지 말고 지금 당장 닥친 일부터 힘써야 한다는 말. (2) 어느 구름에 눈이 들며 어느 구름에 비가 들었나: 언제 무엇이 어떻게 될지 미래의 일에 대하여는 모른다는 말. (3) 어느 구름에(서) 비가 올지: 언제 무엇이 어떻게 될지 미래의 일에 대하여는 모른다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속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다음에 또 봐요. 바로가기 미래에 상관있는 속담: 모았더니 3개

베에 상관된 속담: 찾아보았더니 8개

반가워요. 오늘은 "베에 상관된 속담: 찾아보았더니 8개"에 대해 소개드립니다. 간단히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베주머니에 의송 들었다: 보기에는 허름한 베주머니에 기밀한 서류가 들었다는 뜻으로, 사람이나 물건이 외모를 보아서는 허름하고 못난 듯하나 실상은 비범한 가치와 훌륭한 재질을 지녔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게으른 놈[일꾼] 밭고랑 세듯: 게으른 년이 삼[麻]을 찢어 베를 놓다가 얼마나 했는지 헤아려 보고, 게으른 놈이 책을 읽다가 얼마나 읽었나 헤아려 본다는 뜻으로, 게으른 사람이 일은 안 하고 빨리 그 일에서 벗어나고만 싶어 함을 이르는 말. (3) 게으른 선비 책장 넘기기[넘기듯]: 게으른 년이 삼[麻]을 찢어 베를 놓다가 얼마나 했는지 헤아려 보고, 게으른 놈이 책을 ..

망령에 관련된 속담: 모두 14개

좋은 하루 ^^; 오늘은 "망령에 관련된 속담: 모두 14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편하게 확인해 보세요. (1) 열사흘부스럼을 앓느냐: 망령된 말을 많이 하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2) 열없는 색시 달밤에 삿갓 쓴다: 정신이 흐려져 망령된 짓을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젊은이 망령은 몽둥이로 고친다: 노인들은 그저 잘 위해 드려야 하고, 아이들이 잘못했을 경우에는 엄하게 다스려 교육해야 한다는 말. (4) 젊은이 망령은 홍두깨로 고치고 늙은이 망령은 곰국으로 고친다: 노인들은 그저 잘 위해 드려야 하고, 아이들이 잘못했을 경우에는 엄하게 다스려 교육해야 한다는 말. (5) 지각이 나자 망령: 철이 들 만하자 망령이 들었다는 뜻으로, 지각없이 굴던 사람이 정신을 차려 일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