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속담모음 1075

보리밭에 연관된 속담: 모두 10개

반가워요. 이번에는 "보리밭에 연관된 속담: 모두 10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간단히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닷 돈 보고 보리밭에 갔다가 명주 속옷 찢었다: 작은 이익을 얻으려다 도리어 큰 손해를 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보리밭에 가 숭늉 찾는다: 모든 일에는 질서와 차례가 있는 법인데 일의 순서도 모르고 성급하게 덤빔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보리밭만 지나가도 주정한다: 밀은 베어서 털고 찧어야 술누룩을 만들 수 있는 것인데 밀밭만 지나가도 술을 마신 것처럼 취한다는 뜻으로, 전혀 술을 못 먹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보리밭만 지나가도 주정한다: 밀은 베어서 털고 찧어야 술누룩을 만들 수 있는 것인데 밀밭만 지나가도 술을 마신 것처럼 주정한다는 뜻으로, 전혀 술을 ..

깻묵에 관한 속담: 모두 3개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깻묵에 관한 속담: 모두 3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일목요연하게 읽어 보세요. (1) 깻묵에도 씨가 있다: 언뜻 보면 없을 듯한 곳에도 자세히 살펴보면 혹 있을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깻묵에도 씨가 있다: 아무리 하찮아 보이는 물건에도 제 속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벙어리 입에 깻묵 장 처넣듯: 무턱대고 크게 한 입씩 퍼 넣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속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좋은 하루 되세요. 바로가기 깻묵에 관한 속담: 모두 3개

부아에 관련된 속담: 모았더니 3개

반가워요. 이번에는 "부아에 관련된 속담: 모았더니 3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오늘 확인해 보세요. (1) 마음이 풀어지면 하는 일이 가볍다: 마음에 맺혔던 근심과 걱정이 없어지고 부아가 풀리면 하는 일도 힘들지 않고 쉽게 됨을 이르는 말. (2) 부아 돋는 날 의붓아비 온다: 한창 곤란한 일을 겪고 있을 때 반갑지 아니한 일이 겹쳐 찾아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부아 돋는 날 의붓아비 온다: 가뜩이나 화가 나서 참지 못하고 있는데 미운 사람이 찾아와 더욱 화를 돋우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속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고맙습니다. 바로가기 부아에 관련된 속담: 모았더니 3개

새우젓에 관련된 속담: 모두 3개

안녕 ^^; 오늘은 "새우젓에 관련된 속담: 모두 3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쉽게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1) 절간이 망하려면 백하젓 장사가 성한다: ‘절이 망하려니까 새우젓 장수가 들어온다’의 북한 속담. (2) 절이 망하려니까 새우젓 장수가 들어온다: 일이 안되려니까 뜻밖의 괴상한 일이 생긴다는 말. (3) 절간에 가서도 눈치가 있어야 백하 젓국 얻어먹는다: 새우젓 같은 것은 먹지 못하도록 금하고 있는 절간에 가서도 눈치만 빠르면 그 젓국을 얻어먹을 수 있다는 뜻으로, 눈치가 빠르고 세상 물정이 환하면 못 구하는 것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wordrow.kr에서 다른 주제별 속담도 체계적으로 알아보실 수 있어요. THANK YOU! 바로가기 새우젓에 관련된 속담: 모두 3개

한계에 관한 속담: 찾아보았더니 8개

안녕 ^^; 오늘은 "한계에 관한 속담: 찾아보았더니 8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꼭 읽어 보세요. (1) 기생 환갑은 서른: 특별한 체력이나 능력을 필요로 하는 직업에는 연령에 한계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강물이 출렁일 때는 넘을 것 같아도 못 넘는다: 한창 기세가 성할 때에는 당장 큰일을 치를 것 같지만 자기의 능력이나 한계의 범위를 벗어나지는 못한다는 말. (3) 아비 아들 범벅 금 그어 먹어라: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도 한계를 분명히 해야 함을 이르는 말. (4) 벋어 가는 칡도 한(限)이 있다: 칡이 기세 좋게 벋어 나가지만 그것도 한계가 있다는 뜻으로, 무엇이나 성하는 것도 한도가 있음을 이르는 말. (5) 부자도 한이 있다: 부자도 한계가 있다는 뜻으로, 무엇이나 성하는 것도 한..

생활에 연관있는 속담: 모았더니 63개

반갑습니다. 이번에는 "생활에 연관있는 속담: 모았더니 63개"에 대해 알려드릴께요. 멋진 사진과 함께 감상해 보세요. (1) 시시덕이 재를 넘는다: 쾌활하게 시시덕거리는 사람이 생활에서는 어려운 고비를 겪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시집가(서) 석 달 장가가(서) 석 달 같으면 살림 못할 사람 없다: 결혼 생활 처음처럼 애정이 지속되면 살림 못하고 이혼할 사람은 하나도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만날 뗑그렁: 생활이 넉넉하여 만사에 걱정이 없음을 이르는 말. (4) 먹는 밥이 살로 가다: 생활에 아무 걱정이나 근심이 없어 마음이 편한 경우를 이르는 말. (5) 예황제 부럽지 않다: 생활이 매우 안락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6) 돈피 옷 잣죽에 자랐느냐: 생활을 매우 호사스럽게..

조용에 연관있는 속담: 모아보면 6개

좋은 하루 ^^; 오늘은 "조용에 연관있는 속담: 모아보면 6개"에 대해 찾아드립니다. 오늘 읽어 보세요. (1) 끓는 물에 냉수 부은 것 같다: 여러 사람이 북적거리다가 갑자기 조용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쥐 죽은 나락: 몹시 조용하고 음산한 지옥 같은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 조용하게 몇 사람이 수군거리는 소리를 비꼬는 말. (4) 고양이 간 골에 쥐 죽은 듯: 고양이 소리만 나도 쥐가 옴짝달싹 못하고 죽은 듯이 조용하다는 데서, 겁이 나거나 놀라서 숨을 죽이고 꼼짝 못 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맹꽁이 통에 돌 들이친다: 매우 시끄럽게 떠들던 것이 갑자기 조용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6) 절에 쇠 건 것 같다: 아주 한적..

날고기에 관련있는 속담: 다 합치면 9개

반가워요. 오늘은 "날고기에 관련있는 속담: 다 합치면 9개"에 대해 함께 알아 보시죠. 편하게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승냥이 날고기 먹지 않는 종자 없다: 새끼는 반드시 그 어미가 가지고 있는 본성을 그대로 따르기 마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승냥이 밑에서 빠진 건 다 날고기를 먹는다: 새끼는 반드시 그 어미가 가지고 있는 본성을 그대로 따르기 마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날고기 보고 침 안 뱉을 이 없고 익은 고기 보고 침 안 삼키는 이 없다: 고기는 익혀서 먹어야 맛이 있다는 말. (4) 호랑이 날고기 먹는 줄은 다 안다: 그런 짓을 하는 줄 다 아는데 굳이 숨기고 안 하는 체할 필요가 없다는 말. (5) 호랑이더러 날고기 봐 달란다: 염치와 예의도 모르는 사람에게 그..

불만에 연관있는 속담: 정리하면 7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불만에 연관있는 속담: 정리하면 7개"에 대해 감상하시죠. 편하게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더워서 못 먹고 식어서 못 먹고: 이런저런 구실과 조건을 대면서 이러쿵저러쿵 불만이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솥 안에 든 고기: 이제 불만 때면 죽을 운명에 처한 솥 안의 고기와 같은 신세라는 뜻으로, 결과가 이미 뚜렷해진 경우를 이르는 말. (3) 닷 돈 추렴에 두 돈 오 푼을 내었나: 여럿이 모인 자리에서 발언권을 얻지 못하거나 업신여김을 당하는 경우를 불만조로 이르는 말. (4) 발등에 떨어진 불만 보고 염통 곪는 것은 못 본다: ‘손톱 밑에 가시 드는 줄은 알아도 염통 밑에 쉬스는 줄은 모른다’의 북한 속담. (5) 밥 우에 떡 안 준다고 그러느냐: 잘해 주어도..

나팔에 관한 속담: 정리했더니 8개

안녕 ^^; 이번에는 "나팔에 관한 속담: 정리했더니 8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바로 살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사또 덕분에 나팔 분다: 사또와 동행한 덕분에 나팔 불고 요란히 맞아 주는 호화로운 대접을 받는다는 뜻으로, 남의 덕으로 당치도 아니한 행세를 하게 되거나 그런 대접을 받고 우쭐대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원님 행차 뒤에 주라 불기: ‘행차 뒤에 나팔’의 북한 속담. (3) 행차 뒤에 나팔: 사또 행차가 다 지나간 뒤에야 악대를 불러다 나팔을 불리고 북을 치게 한다는 뜻으로, 제때 안 하다가 뒤늦게 대책을 세우며 서두름을 핀잔하는 말. (4) 사또 떠난 뒤에 나팔 분다: 사또 행차가 다 지나간 뒤에야 악대를 불러다 나팔을 불리고 북을 치게 한다는 뜻으로, 제때 안 하다..

반응형